사회
'북측 불참' DMZ 내 전사자 발굴 종료…유해 143구 찾아
입력 2020-11-19 11:12  | 수정 2020-11-26 12:03

올해 강원도 철원 비무장지대(DMZ)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진행된 군의 6·25 전사자 유해발굴 작업에서 찾은 330점의 유골을 토대로 총 143구의 유해가 발굴됐습니다.

유해는 국군 67구, 중국군 64구, 미상 12구 등으로 추정됐습니다.

국방부는 지난 4월 20일부터 화살머리고지 일대 남측 지역에서 진행한 2020년 유해발굴사업을 내일(20일) 종료한다며 오늘(19일) 발굴 성과를 발표했습니다.


발굴된 유해 가운데 고(故) 임병호 일등중사, 서영석·배석래·송해경 이등중사, 정영진·김진구 하사 등 6명의 국군 전사자 신원은 확인됐습니다.

유해 이외에 국군 계급장과 인식표, 중국군 방독면, 미군 방탄복 등 당시 전투에 참여한 군인들의 유품도 총 106종 1만7천476점 발굴했습니다.

화살머리고지 일대 남측 지역 유해발굴사업은 2018년 9·19 남북군사합의의 일환으로 DMZ 안에서 이뤄진 군 최초의 유해발굴작업입니다. 북측의 불참으로 지난해부터 남측 단독으로 진행했습니다.

군은 작년과 마찬가지로 제5사단장의 지휘 아래 대령급 장교를 현장지휘관으로 하는 테스크포스(TF)를 편성했습니다. 5사단 예하부대,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특수기동지원여단 등이 TF에 참여했습니다.


특히 특수기동지원여단 예하 공병대대의 참여로 화살머리고지 일대의 지뢰를 효과적으로 제거해 안전을 확보할 수 있었다고 국방부는 전했습니다.

전사자 유해가 다수 매장돼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교통호와 전투진지를 중심으로 158발의 지뢰와 2천410발의 불발탄을 제거했습니다.

국방부는 지난 2년간의 유해발굴 성과를 토대로 내년에도 DMZ 내 유해발굴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9·19 남북군사합의에 명시된 남북 공동유해발굴에 북측이 호응하도록 노력하는 한편 언제라도 공동 유해발굴작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는 방침입니다.

국방부는 "지난 2년간 유해발굴 성과를 고려할 때 DMZ 안에 수습되지 않은 채 남겨진 1만여 명의 전사자에 대한 유해 발굴 가능성이 확인됐다"면서 "유해 신원 확인을 위해서는 유해 소재 제보와 유가족 시료 채취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유해 소재 제보나 유가족 유전자 시료 채취 참여 문의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대표전화로 하면 됩니다.

유전자 시료 제공으로 유해의 신원이 확인되면 심사를 통해 최대 1천만 원의 포상금이 지급됩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