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부동산 허점` 찌른 유승민·`재정낭비` 들춘 안철수…볼륨 높이는 野잠룡들
입력 2020-11-18 14:11  | 수정 2020-11-25 15:06

'야권의 잠룡'으로 분류되는 유승민 전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의원과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문재인 정부의 허점을 부각시키며 존재감을 높이고 있다.
유 전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허점을 찌르며 '대권 재도전' 의사를 밝혔다.
유 전 의원은 지난 17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추진하려는 '호텔방 개조 전월세 대책'을 놓고 "기가 막힌다"며 "이래서 이 정권은 안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 전 의원은 그러면서 "전월세와 내집마련의 사다리를 복원하기 위해 정부가 해야 할 일들은 많다"며 ▲임대차 3법 원상복구 ▲23회의 부동산 대책 재검토 ▲재개발, 재건축 규제 완화 및 택지 공급 ▲전월세 보증금 대출, 주택담보대출 확대 등을 정부가 해야 할 일로 규정했다.

유 전 의원은 그 다음날인 18일에는 여의도에 위치한 자신의 사무실 '희망22'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나는 그동안 대선출마 의지를 밝혀온 사람"이라며 "2022년 정권교체 희망을 담은 '희망22'를 시작하는 이유도 그런 차원"이라고 대권 재도전을 선언했다.
야권의 또 다른 잠룡인 안 대표는 현 정권의 재정낭비를 꼬집었다. 안 대표는 지난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누구를 위한 광화문 광장 공사인가'란 글을 통해 "(무려 800억의 세금이 들어가는) 광화문 광장 개조 공사가 시작됐다"며 "(이는) 시장도 없고, 부처와의 합의도 없고, 서울시민의 동의도 없는 상태에서 이뤄지는, 한 마디로 '날림행정', '불통행정', '유훈행정'의 표본"이라고 주장했다.
안 대표는 그러면서 "광화문 광장 공사는 남은 임기 5개월짜리 대행체제가 화급을 다투어서 강행할 사업이 아니다"라며 "차기 시장이 뽑히고 나면 새 체제에서 시민과 도시계획전문가 그리고 중앙정부의 의견을 들어 결정하는 게 맞다"고 촉구했다.
안 대표는 재차 "안 그래도 서울의 세대당 지방세 부담액은 이미 연간 514만원이 넘는다"며 "시민은 세금폭탄으로 허리가 휠 지경인데, 이런 사업 하겠다고 세금을 퍼붓는다면 어떤 시민이 납득하겠나"라고 강조했다.
범여권 성향의 대권후보로 꼽히는 심상정 정의당 전 대표는 '노동계 스킨십'에 주력하고 있다. 심 전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오늘 아침 전태일 열사와 함께 국회 로텐더홀 앞에 섰다"며 "평균 450만원으로 퉁쳐지는 노동자들의 목숨값을 50만 원 더 올려주면 죽음의 행렬을 막을 수 있나"라고 밝혔다.
심 전 대표는 "저와 정의당은 생명을 돈으로 거래하기 위해 이 자리에 서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생명보다 이윤을 추구해온 최고경영책임자들에게 제대로 책임지라고, 더 이상 노동자를 죽음으로 내몰지 말라고 요구하는 것"이라며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을 강조했다.
[우승준 기자 dn1114@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