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부산항 제2신항을 중심으로 '한국형 스마트 항만'이 도입된다. 인천, 평택, 울산 등 전국 권역별로 특화한 항만도 개발된다.
17일 해양수산부는 이 같은 내용의 '2030 항만정책 방향과 추진전략'을 국무회의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우선 해수부는 완공될 부산항 제2신항을 2030년부터 스마트 항만으로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 운용 중인 광양항에 5940억원을 투입해 시험대(테스트 베드)를 구축하기로 했다. 선박과 부두의 접안, 물건을 싣고 내리는 야적 등의 과정이 컴퓨터와 기계에 의해 진행되는 자동화 절차를 구현한다는 목표다.
해수부 관계자는 "국산 기술을 도입해 부산항 제2신항부터 자동화를 완성하고 이후 단계적으로 다른 항만에도 확대할 계획"이라며 "자동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업을 최소화하고 양질의 일자리로 전환하기 위해 노사정 협의를 계속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해수부는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으로 인한 국제적 공급체계 변화에 대응하고 안정적인 항만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권역별로 특화한 항만도 개발한다. 부산항 제2신항은 3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초대형선이 접안할 수 있는 규모로 짓기 위해 2022년 착공한다. 신항의 명칭은 지역의 건의를 수용해 '진해신항'으로 결정했다.
총물동량 기준으로 세계 11위 규모인 광양항에는 순환형 항로를 구축한다. 해수부는 배후부지 확충부터 산업 활성화, 물동량 창출, 항만개발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만들어 아시아 최고의 스마트 복합 항만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인천·서해권은 대중국 수출입 화물처리를 위한 물류거점항만으로, 평택·당진항은 자동차·잡화 등 수도권 산업을 지원하는 항만으로, 제주도는 장기적으로 여객·크루즈에 특화한 관광 중심항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양연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