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호주, 코로나 국경봉쇄에 인구 감소…"이민정책 전면 재검토해야"
입력 2020-11-16 16:58  | 수정 2020-11-23 17:03

호주 경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침체에서 완전히 벗어나려면 이민을 늘려야 한다는 내용의 연구 보고서가 공개됐습니다.

오늘(16일) 호주 일간 시드니모닝헤럴드에 따르면 시드니대학 미국연구센터(USSC)는 이날 연구 보고서에서 코로나 국경 봉쇄 후 지난 6개월 동안 호주 인구가 1만 6천 명 감소했다며 현행 이민정책의 재검토를 제안했습니다.

최근까지 호주 인구는 이민 순유입을 통해 연평균 15만 명씩 증가했는데 이는 전체 인구의 2%에 육박합니다.

하지만 지난 3월부터 시행된 코로나 국경봉쇄로 입국자 수가 급감하면서 인구증가율도 대폭 떨어지고 있습니다.


유학생 입국자의 경우 지난달 130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 5만4천 명에 비해 무려 99% 이상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 보고서는 저출산에 코로나 국경봉쇄 마저 겹쳐 이번 회계연도(2020.7∼2021.6)에만 이민 순유출이 7만 2천 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미국연구센터의 스티븐 커크너 박사는 "이민 순유입을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늘리는 것이 경제 회복에 필수적"이라면서 "정부는 이민정책을 이에 따라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2차 세계대전 직후 호주가 경제성장을 위해 영국·미국·유럽 등지에서 이민자를 적극 유치한 것과 유사한 정책을 제안했습니다.


이 보고서의 주장에 대해 호주 경제 전문가들도 즉각 찬성의 뜻을 나타냈습니다.

내셔널 오스트레일리아 은행(NAB)의 트레이시 리우 이코노미스트는 "호주 전체 인구 성장의 ⅔를 이민 순유입으로 채워왔다. (코로나) 백신이 개발돼 방문자 수가 증가해도 곧장 이민 유입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면서 정부가 팬데믹 이전 수준의 인구 성장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커먼웰스 세큐리티즈(CommSec)의 크레이그 제임스 이코노미스트도 "이민자 유입이 멈추면 거주용 부동산·소매·요식·의료·광산업 등이 심각한 타격을 받는다"면서 "연간 3~5% 경제 성장이 가능하려면 안전하게 국경을 열어 이민자를 유치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