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발굴 아닌 목격”…이선희→송민호, 무명가수들의 인생조언 될 ‘싱어게인’(종합)
입력 2020-11-16 12:01 
‘싱어게인’ 이승기 유희열 이선희 김이나 규현 선미 이해리 송민호 사진=JTBC
무명가수들을 새롭게 목격할 수 있는 오디션프로그램이 탄생했다. ‘싱어게인은 시니어 라인과 주니어 라인의 심사위원으로 탄탄하고 트랜디한 심사평으로 무명가수들의 무대를 더욱 빛나게 만들어줄 예정이다.

16일 오전 JTBC 예능프로그램 ‘싱어게인-무명가수전(이하 ‘싱어게인)의 제작발표회가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이날 현장에는 윤현준CP, 유희열, 이선희, 김이나, 이승기, 규현, 선미, 이해리, 송민호 등이 참석해 진솔하고 유쾌한 이야기를 펼쳤다.

윤현준CP는 조금은 낯설고 힘든 시기에 누군가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함께하게 돼서 기쁘다. 훌륭한 분들과 함께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감사하고, 많은 시청자 여러분과 함께할 수 있도록 잘해보겠다”라고 각오를 전했다.

‘뻔한남자를 선공개하며 오랜만에 가요계에 복귀한 이승기는 진짜 어제 ‘뻔한남자라는 노래를 발표했다. ‘싱어게인은 뻔하지 않은 오디션이다. 라임 좋은데? 여러 오디션프로그램을 다년간 봐오셨겠지만, 개인적으로 참여해서가 아니라 다른 이야기들과 사연이 있고 기존의 앨범을 냈던 가수분들이 참여하는 오디션이라는 것에 의미가 있다. 심사위원 모두 뭉클하며 응원하는 마음으로 봤다. 굉장히 재밌고, 고수들이 많이 나온다”라고 소개했다.
‘싱어게인 제작발표회 사진=JTBC

막내 송민호는 일단 선배님들과 함께하게 돼서 영광이다. 이 자리에서 할 수 있는 것은 굉장히 리액션들과 표정들이다. 그런 걸 열심히 하고 있고, 배우고 있다. 다양한 이야기, 재미와 감동이 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선미의 소개와 함께 멤버들은 선미는 숨소리 전문”이라고 이야기했고, 선미는 내 본가가 숨소리에 민감한데라”고 너스레를 떨어 웃음을 자아냈다.

‘싱어게인은 무명가수들이 등장한다. 또한 이들은 이름이 아닌 번호로 등장한다. 윤현준CP는 ‘무명가수전은 무명가수들의 전쟁, 이야기라는 뜻이다. 여러분들이 아는 무명가수라는 의미도 있고, 번호로 부르기 때문에 이름이 없다는 중의적인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을 기획하며 고민한 부분이 무명가수분들을 어떻게 더 유명하게 만들 수 있을까 였다. 아시겠지만, 다른 오디션에 출연한 분들이 이름이 각인되고 사라지는 분들이 많다. 우리는 차라리 아이러니하게도 이름을 감춤으로서 시청자분들이 궁금해하고 찾아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그분들의 이름이 아니라 번호를 부르면 더 유명해지지 않을까 번호제를 도입했다”라고 설명했다.

‘위대한 탄생 이후 오랜만에 오디션MC로 돌아온 이선희는 무명에 앨범을 낼 친구들이 앨범을 낼 수 있게 해준다는 거에 매력을 느꼈다. 나도 앨범을 내지만, 처음 시작한다는 느낌으로 늘 낸다. 그들의 도전기에 나의 어떤 힘이 같이 플러스될 수 있을까 해서 참여했다. 멘토의 역할을 다른 프로그램에서 있어서 프로가 되는 과정을 함께 갔다면, 이들은 이미 에너지를 갖고 있고, 같이 배워가는 거다”라고 포인트를 짚었다.


앞서 유희열은 가수 안예은을 발굴해 화제를 모았다. 이는 계속해서 유튜브 등을 통해 확산되고 계속해서 관심을 받고 있다. 그렇기에 이번 ‘싱어게인에서 유희열이 안예은에 이어 또 다른 능력자를 발굴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모아진다. 유희열은 안예은을 발굴해냈다는 건 과찬이다. 워낙 잘했다. 그때 안예은의 경우에는. 나뿐만 아니라 다들 느꼈을 거다. ‘우리가 왜 저 친구를 몰랐지? ‘저 가수는 왜 안 됐지? 한 게 많다. 음악프로그램을 하다 보니 가수들을 소개를 하면서 살아간다는 일이 실력뿐만이 아니라 기회가 필요하구나 느꼈다. 그런데 기회조차 없었던 거다. 본인들이 용기를 내서 노크를 하러 다시 나온 거다. 실력과 가능성을 다시 볼 수 있다. 깜짝깜짝 놀라고 있다. 발굴이 아닌 목격을 하시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다”라고 털어놨다.

김이나 작사가는 시니어 심사위원 라인의 막내로 발탁됐다. 그는 다소 선생님들과 정답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 또 녹화가 길어지다 보니까 각종 견과류를 먹으며 생존에 대해 이야기한다. 10시간 이상 넘어가면서부터는 머리에 남아 있는 가이드라인을 통해서 정답에 가까운 이야기를 해야하니까”라며 그런데 주니어 라인들은 끝까지 살아 있더라. 무시할 수 없더라. 문득 그런 게 기억난다. 감각적인 디테일들 등은 주니어 라인들만이 할 수 있는 것 같다”라고 시니어와 주니어 라인의 공존이 필요한 이유를 이야기했다.
‘싱어게인 첫방 사진=JTBC

그런 가운데 규현은 주니어와 시니어 라인의 다리 역할을 한다. 유희열의 증언에 의하면 그는 아래 안보인다고 슬리퍼를 신고 나올 정도로 편안한 모습도 보여줬다. 규현은 감성이 어느 순간 보면 시니어의 감성과 맞닿아 있더라. 후배님들이 선배님들한테 기가 죽으면 안되니까 좀 맞서 싸우고 이런 걸 해보려고 했는데 어떻게 편집으로 될지는 모르겠다. 나중에 보시면 극명하게 갈리는 게 몇 개 나온다”라고 관전포인트도 알려줬다.

시니어 라인과 달리 주니어 라인들은 어린 나이에 확 뜬 가수들이었고, 무명가수들 중에는 그들보다 나이가 있는 가수들이 존재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해 선미는 심사라기보다 우리의 생각을 말하는 게 더 크다. 약간 그런 질문을 봤다. 내가 어쩌다 보니까 소신발언을 하는 사람으로 표현을 해주더라. 생각을 말할 수 있게 해주는 환경이다”라고, 이해리는 현장에서 고민이 많았다. 느낌, 직감 등을 많이 심사, 말을 많이 했다. 물론 시니어 심사위원분들도 계시지만, 뒤에 갈수록 ‘띵이라고 해야 하나? 볼 수 없는 구조다. 우리도 소신껏 무대를 보고 느낌대로 많은 표를 드리려고 노력했다”라고 밝혔다.

래퍼로서 주니어 라인에 합류한 송민호는 이 무대에 책임감이 있다. 나만의 눈으로, 내가 볼 수 있는 눈으로 냉철하게 심사해야한다고 느꼈다. 내가 볼 수 있는 게 뭘까 했다. 무대적인, 비주얼적인, 퍼포먼스나 어찌 됐건 타 오디션프로그램과 달리 가수로서 눈도장을 내민 분들이기 때문에 무대에서 전체적인 퍼포먼스나 에너지를 보려고 했다”라고 진솔하게 답했다.

마지막으로 유희열은 심사와 관련해 가끔 살 떨릴 때가 있지 않냐. 너무 긴장돼서. 그때 규현이 오아시스 같은 역할을 한다. 우리 심사위원들이 이렇게 뭉칠 수 있구나 느낀 게 오디션프로그램이 참 어렵다. 방송이지 않냐. 나오는 분들에게는 3-4분의 무대가 인생이 바뀌는 도전이다. 방송처럼 적당하게 우리들의 입장을, 우리들이 어떻게 비춰질까를 고려해가면서 할 수밖에 없다. 여기 계신 분들이 가장 솔직하게 심사평들을 해준다. 그게 이분들에게 도움이 된다. 대중분들은 댁에서 보시면서 한마디씩 하시지만, 우리는 세대들도 다르다 보니까 그 한마디가 어떻게 보여질까보다 각자의 경험을 토대로 과감없이 심사한다. 방송이긴 하지만 이분들의 인생이 걸려 있으니 응원해주시고 관심 가져주시면 우리도 심사를 잘 할 수 있을 것 같다”라고 당부했다.

MBN스타 대중문화부 이남경 기자 mkculture@mkculture.com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