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거리두기 1.5단계 격상 턱밑까지…노동계 집회 '확산 기폭제' 우려
입력 2020-11-16 06:59  | 수정 2020-11-16 07:30
【 앵커멘트 】
앞서 보신 것처럼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연일 2백 명을 넘으면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상향 조절될 가능성이 커졌는데요.
길기범 기자와 코로나 관련 뉴스 좀 더 이어가겠습니다.


【 질문 1 】
길 기자. 이틀 연속으로 200명대 확진자가 나오면서 상황이 심상치 않은 건 분명한데, 대규모 확산을 걱정해야하는 상황인가요?


【 답변 1 】
네. 수치만 보면 그렇습니다.

200명대 확진이 최근 70일넘는 기간동안 없었습니다.

게다가 지난 열달간의 추세를 분석하면, 코로나19 대규모 확산은 석달 주기로 반복됐습니다.

지난 2월 신천지발 유행, 5월엔 이태원 클럽발, 8월에 광복절 집회를 중심으로 대규모 확산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다시 석달이 지난 지금, 하루 확진자수가 이미 이태원클럽발 집단감염 때를 훌쩍 넘어섰습니다.



【 질문 2 】
그래서 거리두기 1.5단계 격상 얘기가 나오는 것 같은데, 1.5단계로 올라가는 기준은 뭔가요?


【 답변 2 】
핵심 기준은 1주일간 하루 평균 몇 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는지입니다.

전국을 7개 권역으로 나눠 격상 기준에도 차별을 뒀는데요.

수도권의 경우, 그 기준이 1주일간 하루 평균 확진자 수 100명을 넘는지 여부입니다.

즉 100명 아래면 1단계, 100명을 넘어가면 1.5단계로 하겠다는 겁니다.

그 외 충청·호남·경북·경남권은 30명, 강원·제주는 10명이 기준입니다.

이 외에도 치료 역량 등 다른 지표들도 종합적으로 고려하게 되는데요.

대표적으로, 60대 이상 고령층 환자가 얼마나 되는지를 따지게 되는데 수도권의 경우, 고령환자수가 40명 이하면 1단계, 40명을 넘으면 1.5단계로 정했습니다.

지난주 수도권 확진자는 629명으로 하루 평균 89.9명이고, 고령 환자는 32.6명입니다.

두 지표에서 모두 1.5단계 격상 턱밑까지 다다른 상태이고,강원은 이미 주요 지표 모두 1.5단계 기준을 넘어선 상황입니다.

【 질문 3 】
단계가 상향되면 뭐가 달라지나요?


【 답변 3 】
먼저, 박능후 장관의 애기를 직접 들어보시죠

▶ 인터뷰 : 박능후 / 보건복지부 장관
- "1.5단계로 거리두기 단계 격상이 이루어질 경우 다중이용시설 대부분은 입장인원을 제한하거나 좌석 띄우기가 실시됩니다. "

1.5단계로만 올라가도 자영업자는 적지 않은 타격을 받게 됩니다.

식당·카페만 보면, 테이블간 1m거리두기 등의 조치를 해야하는 곳들이 늘면서 손님을 최대 절반까지 줄여야하는 곳도 있습니다.

1단계에서는 영업 면적이 150㎡이상인 경우에만 해당됐지만, 1.5단계에선 이 기준이 50㎡로 낮아집니다.

종교활동에도 변화가 생기는데요.

1단계에서는 좌석만 한 칸 띄우고 앉으면 됐지만, 1.5단계에선 전체 좌석의 30% 인원으로 참석이 제한됩니다.


【 질문 4 】
그래서 어제 중대본도 '위기 상황'으로 보고 적극적인 방역 협조를 요청했잖아요. 특별히 더 우려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 답변 4 】
지난 주 토요일에 전국적으로 열렸던 집회가 신경쓰일 수 밖에 없습니다.

전태일 서거 50주기를 맞아 특히나 노동계 집회가 많았는데요.

거리두기 1단계로 정부가 100명이 넘는 규모의 집회를 금지하자, 99명씩 쪼개서 여러 집회가 열렸습니다.

집회마다 발열체크와 인원수 확인은 이뤄졌지만, 코밑까지 마스크를 내리고 대화를 나누는 등 곳곳에서 허술한 방역이 포착되기도 했습니다.

【 질문 5 】
확진자가 발생한 축구국가 대표팀 상황도 궁금한데요. 예정됐던 카타르 대표팀과의 평가전은 그대로 진행될까요?

【 답변 5 】
네 원래는 내일 저녁 10시에 카타르 대표팀과 평가전이 예정되어있습니다만, 강행 여부는 아직 더 지켜봐야될 것 같습니다.

멕시코와 경기를 치르기 위해 오스트리아로 건너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권창훈, 조현우 선수 등 6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는데요.

대표팀은 오늘 3차 코로나 검사를 받을 예정입니다.

대한축구협회는 3차 검사 결과가 나오는대로 상대 팀인 카타르 축구협회, 개최국인 오스트리아 축구협회 등과 협의해 평가전 진행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입니다.

【 질문 6 】
전 세계적으로도 '코로나 3차 대유행'이 현실화되는 상황이라고요?

【 답변 6 】
네. 미국과 프랑스, 일본 등 각국의 신규 확진자 최고치가 연일 경신되고 있습니다.

존스홉킨스대 통계에 따르면 미국에선 지난주 금요일 하루 확진자가 18만 명을 넘어서며 나흘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프랑스 역시 신규 확진자 수가 3만 명을 돌파했고, 일본도 지난 14일 신규 확진자가 1천7백 명대를 넘으며 사흘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북반구가 겨울에 접어들면서 날이 추워지자 코로나 바이러스 자체의 생존력이 더 늘어나고,건조한 경우 감염이 더 쉽게 일어나면서 감염자도 늘어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겨울철 실내 생활이 증가하면 전파가능성도 높아지는데, 미국은 오는 26일 추수감사절 연휴도 앞두고 있어 방역 당국은 더욱 긴장하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네. 잘들었습니다. 길기범 기자였습니다.

영상편집 : 송지영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