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쉬운 말로 우리말로 21] 코세페는 무엇? 흥행 위해 쉬운 말로
입력 2020-11-06 19:19  | 수정 2020-11-06 20:53
【 앵커멘트 】
쉬운 말로 우리말로, 문화부 이상주 기자와 함께하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 질문 1】
오늘은 어떤 말들을 바꿔 볼까요?

【 답변 1】
네, 오늘의 단어는 코세페입니다.

【 질문 2】
코리아 세일 페스타, 내수 활성화를 위해 유통업계 주도로 열리는 국내 최대 할인 행사죠?

【 답변 2】
네 맞습니다.

코리아 세일 페스타는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경제 불황을 극복하려고 시작한 유통업계의 대규모 할인 행사인데요,

5년째인 올핸 코로나 여파로 어려워진 내수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해 온오프라인에서 역대 최대규모로 열리고 있습니다.

이런 대규모 행사를 칭하는 말이 전부 외국어라 한번 짚어봤습니다.


【 질문 3】
그렇군요.


내수경기 활성화를 위해서라면 무엇보다 우리 소비자들이 잘 알아야 할 텐데, 어떻게 바꾸면 좋을까요?


【 답변 3】
맞습니다.

이 코리아 세일 페스타는 코리아를 그냥 빼고 세일 페스타를 대규모 할인 축제로 바꿨으면 좋겠습니다.


【 질문 4】
쉽고 편하게 들리긴 하네요.

다음 바꿔볼 말은 어떤 건가요?


【 답변 4】
이번 단어는 (큐브 가리키며) 쇼핑몰입니다.

【 질문 5】
분명히 외국어이긴 한데,

쇼핑이란 말이 워낙 익숙해서 굳이 바꿀 필요가 있을까 싶은데요.


【 답변 5】
네, 쇼핑을 장보기로 바꾸시면 좋은데 지금은 그대로 쇼핑을 쓰셔도 되고요

다만 쇼핑을 붙인 말들은 바꿔야 할 게 좀 있는데요,

그 중 하나가 쇼핑몰입니다.

여러 가지 물건을 살 수 있도록 상점들이 모여 있는 온 오프라인 공간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 질문 6】
그렇군요. 쇼핑몰은 우리말로 어떻게 바꾸면 좋을까요?


【 답변 6】
네, 우리가 이미 알고, 또 자주 쓰는 말입니다.

쇼핑몰은 상점가, 상가입니다.

쇼핑몰과 상가같이 자주 쓰고 있는데 우리말을 두고 굳이 외국어를 더 많이 쓸 필요는 없겠지요.


【 질문 7】
그러고 보니 쇼핑과 관련된 말이 외국어가 참 많네요.

마트도 있고요.


【 답변 7】
그렇습니다. 쇼핑처럼 워낙 많이 쓰고 있어서
계속해서 우리말로 고쳐가고 있는데요,

우선 마트는 할인점으로 하면 좋겠고요,

또 쇼핑할 때 많이 쓰는 쿠폰은 할인권, 우대권 정도로 말하면 되겠습니다.


【 앵커멘트 】
안 쓰면 그만큼 잊히는 게 말. 이죠.
우리말, 더 많이 써야겠습니다.

‘쉬운 말로 우리말로 이상주 기자였습니다.

영상편집: 이유진
자료협조: 국립국어원, 국어문화원연합회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