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오리주둥이 공룡은 고대 아프리카에 어떻게 갔을까
입력 2020-11-06 16:58  | 수정 2020-11-13 17:06

북미에서 발원해 남미와 아시아, 유럽으로 퍼진 오리주둥이 공룡 화석이 아프리카에서 발굴돼 학계가 놀라고 있다.
약 6600만년 전 백악기 말기에는 아프리카가 지금과 달리 육지로 연결돼 있지 않았다.
결국 오리주둥이 공룡이 수백 킬로미터의 바다를 건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국 배스대학교 '밀너 진화센터'의 니콜라스 롱리치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모로코 광산에서 발굴된 오리주둥이 공룡에 관한 연구 결과를 학술지 '백악기 연구'(Cretaceous Research)에 발표했다.

'아즈나비아 오디세우스'(Ajnabia odysseus)라는 학명이 부여된 이 공룡은 이빨과 턱뼈 등이 오리주둥이 공룡의 아과로 정교한 뼈로 된 머리 벼슬을 가진 '람베오사우르스'(Lambeosaurinae)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리주둥이 공룡이 최대 15m까지 자라는 것과 달리 아즈나비아는 약 3m로 망아지 크기밖에 안 됐다.
람베오사우루스는 북미에서 처음 출현해 육지로 연결된 아시아와 유럽 등지로 퍼져나갔지만, 깊은 바다로 분리돼 있던 아프리카에서는 화석이 발견된 적이 없다.
롱리치 박사는 이와 관련, 아프리카에서 오리주둥이 공룡 계열의 화석을 발견하리라고는 "결코 예상하지 못했다"면서 "이는 스코틀랜드에서 캥거루를 발견한 것처럼 전혀 그럴 장소가 아니었다"고 했다.
연구팀은 "대륙이 분리되고 한참 뒤에야 이 공룡이 출현했으며 이후 육지로 연결된 증거도 없다"면서 "지질학은 아프리카가 바다로 둘러싸여 고립돼 있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아프리카로 통할 수 있는 길은 바다밖에 없었다"고 했다.
연구팀은 이 때문에 아즈나비아가 수백 킬로미터의 바다를 헤엄치거나 아니면 부유물을 타거나 둥둥 떠서 아프리카에 도달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상규 기자 boyondal@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