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혁신기업 247개 선정…은성수 "글로벌 플레이어로 성장 돕겠다"
입력 2020-11-06 16:18 

기술력은 갖췄지만 재무상태가 다소 좋지 않은 혁신기업이 정부의 금융지원을 통해 성장 발판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
6일 금융위원회는 5개 부처(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해양수산부)와 협업을 통해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사업의 2회차 기업 247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은 산업 이해도가 높은 부처 협업을 통해 정부가 3년간 1000개 이상의 혁신기업을 발굴하는 프로그램이다. 선정된 기업은 대출 한도가 확대되고 정책펀드 투자를 받는 등 금융지원을 받게 된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이날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열린 국가경제자문회의에서 "해당 기업의 수요에 맞춰 종합적이고 전폭적인 금융지원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성장 잠재력이 높은 혁신기업이 '글로벌 플레이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대규모 민간투자자금을 유치할 계획"이라며 "총 20조원 규모 뉴딜펀드를 조성해 시중 유동성을 생산적 부문으로 유도하고, 혁신기업에 연속성 있는 모험자본을 공급해 미래성장동력을 확충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혁신기업이 유무형 동산자산을 활용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동산금융 활성화를 추진하고, 기술력을 가진 기업이 보다 쉽게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기출평가 체계를 정비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금융위는 지난 7월 산업부·중기부와 협업을 통해 신산업, 소재·부품·장비 분야를 대상으로 혁신기업 32개를 1차 선정했다. 이 중 자금수요가 있는 22개사에는 총 3618억원(대출 2672억원·보증 946억원)의 지원이 이뤄졌다. 자율주행차량 부품과 관련한 여러 특허를 보유한 A사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던 중 혁신기업에 선정돼 필요한 자금을 지원받아 연구 개발에 매진할 수 있게 됐다.

이번 2회차 혁신기업 선정 협업 부처는 산업부와 중기부 뿐만 아니라 과기정통부, 복지부, 해수부까지 협업 폭이 확대됐다. 부처별로 산업부가 생체인식 부품생산 중소업체 등 78개, 중기부가 2차전지 생산·조립라인 자동화 설비 제조업체 등 65개, 과기부가 인공지능(AI)머신비전 솔루션 제공 업체 등 40개, 복지부가 레이저 채혈 제조업체 등 34개, 해수부가 친환경 선박관리 서비스 기업 등 30개를 선정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과거 재무제표 위주 금융시스템 하에서 금융지원이 어려웠던 기업 중 미래성장성이 있는 기업들에 대한 지원이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금융계와 산업계 협업을 통해 기술혁신을 촉진하고 기업 경쟁력 강화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유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