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한미관계 공백 없도록"…정부, 미국 대선 불확실성 장기화 대응책 마련
입력 2020-11-05 17:54  | 수정 2020-11-12 18:04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조 바이든 후보가 승리할 가능성이 커지자 정부도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내년 1월 출범이 유력해 보이는 바이든 행정부와 네트워크 구축에 나서는 한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불복으로 선거 결과가 장기간 확정되지 않을 가능성에도 대비하고 있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오늘(5일) 기자들과 만나 미 대선 결과 대응에 대해 "정부는 미국의 선거 관련 절차를 존중하는 가운데 미국 대선 결과가 나오기를 기다리는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정부로서는 한미 당국 간에 소통과 협의는 안정적으로 지속해나가고 있고,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한미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을 위한 노력에 공백이 없도록 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미 행정부 전환기에 한반도 정세 등 한미 현안 조율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관리하는 데 외교력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바이든 후보의 당선이 확정되면 축전을 보내고 문재인 대통령과 당선인 간 통화를 조율할 계획이지만, 언제 이뤄질지는 불확실합니다.

미국 대선 관례는 패자가 승복 선언을 하면 새 대통령 당선이 사실상 확정되며, 정부도 이 시점을 기준으로 당선인 통화를 추진해왔습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경합지 재검표를 요구하며 무더기 소송전을 전개하고 있어 상황에 따라 대선 결과가 다음 달 또는 내년 1월까지도 확정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결과 자체도 확정되는 데 시간이 걸릴 것 같고 이미 여러 건이 소송단계로 간 상황"이라며 "가능한 결과가 빨리 확정되고 정상통화가 조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외교부는 대선 전부터 주미대사관을 중심으로 바이든 캠프와 네트워크를 구축해왔으며, 당선 윤곽이 드러남에 따라 이런 활동을 더 적극적으로 할 방침입니다.

당장 강 장관이 오는 8일부터 11일까지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해 미국 의회와 학계 주요 인사 등을 만나 한반도 및 지역 정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진전과 한미 동맹 강화에 대한 미 조야의 지속적인 지지와 협력을 당부할 예정입니다.

강 장관은 아직 미 대선 결과가 확정되지 않은 데다 외교 관례를 고려해 바이든 캠프 인사와 공식 접촉은 계획하지 않았지만, 가능한 범위에서 차기 행정부와의 네트워크 구축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각에서는 바이든 캠프에 버락 오바마 대통령 정부(2009∼2017년)에 몸담았던 인사들이 많은데, 당시 한국은 이명박·박근혜 정부 때라 지금의 문재인 정부 인사들과는 교류가 뜸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옵니다.

그러나 통상 미국의 한반도·아시아 전문가들은 싱크탱크와 정부를 오가며 활동하는 경우가 많고, 싱크탱크에 있는 동안에도 한국 정부와 활발히 교류했기 때문에 정부는 이들이 바이든 행정부에 기용될 경우 충분히 소통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강 장관은 외통위에서 "바이든 측과도 대선 과정을 통해 여러 소통 채널을 만들었다"며 "그런 것을 잘 이용해서 앞으로 공조를 지속해서 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