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MK현장]김혜수의 깊은 여운 ‘내가 죽던 날’(ft,이정은)
입력 2020-11-04 17:27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한현정 기자]
김혜수 이정은의 연대가 돋보이는 감성드라마 ‘내가 죽던 날이 베일을 벗었다.
영화 '내가 죽던 날'(감독 박지완/제작 오스카10스튜디오, 스토리퐁) 언론배급시사회가 4일 오후 서울 용산구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열렸다.
영화는 유서 한 장만 남긴 채 절벽 끝으로 사라진 소녀와 삶의 벼랑 끝에서 사건을 추적하는 형사, 그리고 그들에게 손을 내민 무언의 목격자까지 살아남기 위한 그들 각자의 선택을 그린다.
박지완 감독은 "형사라는 직업이 남의 인생을 들여다볼 기회가 많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현수'는 영화상 베테랑이고, 경력이 많은 형사인데 자신 상황 때문에 잠깐 쉬고 있지 않나. 개인적으로 겪는 일들 때문에 전과 같이 범죄를 다루는 접근이 아니라 고통을 통해서 남의 상황, 안 보이던 것들이 보이고 사건이 아니라 사람들이 보이기 시작하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부러 여성 서사를 해야지는 아니고 관심 있고 재밌는 이야기를 펼치다 보니 우연히 여성 캐릭터들이 많이 나오는 영화가 됐다. 자기 삶에서 어려운 상황에 있는 사람들이 남의 인생을 들여다볼 때 발견할 수 있는 걸 찾다 보니 자연스럽게 여성 캐릭터들이 등장하게 됐다"고 했다.
김혜수는 "이 영화를 선택했을 때 시기적으로도 내 스스로 드러나지 않는, 드러낼 수 없는 좌절감이나 상처들이 있었던 것 같다. 자연스레 마음이 갔다”며 시나리오를 읽기 전에 제목을 봤을 때 마음을 뺏긴 것 같은 느낌이었다. 운명 같은 영화라는 생각이 든다. 왜 그랬는지 모르겠지만 시나리오 한 장 한 장 읽어가면서 내가 해야 할 이야기 같은 느낌이다. 나도 그 시기에 위로 같은 게 간절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촬영하면서, 연기하면서 함께 하는 배우들을 통해 많은 위안을 얻었다. 실제 따뜻한 연대감이 충만했다"고 했다.
"다만 관객들에게 어떻게 다가갈지 모르겠다”며 우리가 정해놓은 주제, 메시지가 있지만 사실 받아들일 수 있는 사람들에 따라 다를 수 있지 않나. 본인이 원치 않지만 누군가가 되건 남들 모르는 상처, 고통, 절망, 좌절하는 순간 등 깊이 겪으면서 우리가 다 살아가지 않나. 요즘처럼 힘든 시기에 극장 오는 게 쉽지 않겠지만, 영화 보는 사람들에게 따뜻한 위로가 됐으면 하는 마음으로 촬영했다"고 털어놨다.
이정은은 "소리가 없는 걸로 혹시 관객들이 집중하지 못할까봐 최대한 잘 듣고 잘 반응하려고 했던 게 중요했다. 감독님과 하이라이트 장면에서도 어떻게 할지 이야기를 많이 했는데 힘들게 낯설게 나오는 소리를 내려고 후시에서도 작업을 많이 했다. 적으로는 도움이 된 것 같고 장면마다 많이 나오지만
소리를 없는 부분을 다른 걸로 대체하기 위해서 필체도 연구를 많이 했다"고 말했다.

노정의는 "교장선생님 두 분 계신 것 같았다. 처음에 그런 느낌 갖고 부담이 많이 됐다. 그 부담이 그런 부담보다는 선배님들과 같이 하는데 완성도 높은 작품을 누를 끼치지 않았으면 좋겠다가 가장 컸다. 처음에는 그냥 부담이었다가 이번 기회를 통해서 많이 부족한 걸 채워나가고, 배워나가고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는, 감사한 작품이니 더 열심히 해야겠다 마음으로 임했다"고 김혜수, 이정은과 연기 호흡을 맞춘 소감을 전했다.
아울러 "쉽지 않으면 쉽지 않은 역할인데 마음 상처가 실제로도 커서 '세진'으로 승화해 표현하고 싶다는 마음이 있었다. 한 순간에 모든 걸 잃고, 아픔과 상처를 잘 표현하고 싶다. 모든 걸 잃은 어린 아이 모습과 표정과 마음을 가장 잘 표현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중점적으로 뒀다"고 회상했다.
'내가 죽던 날'은 오는 12일 개봉 예정이다.
kiki2022@mk.co.kr[ⓒ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