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이재명 "일본에 적대적이지 않다…韓·日 공존 모색해야"
입력 2020-11-02 13:43  | 수정 2020-11-09 14:37

여권의 유력 대선 주자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이재명 경기지사가 일본 언론에 한일 관계에 대해 "공존공영의 길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2일 보도된 도쿄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일본에 "적대적이라고 하는 시각이 있지만 그것은 사실과 다르다"며 "한일은 밀접한 관계에 있기 때문에 서로 무시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조심성 많고 이웃을 배려하는 일본인의 모습은 훌륭하지만, 일본의 일부 정치인이 군국주의·팽창주의적 사고를 하고 있다"며 정치외교와 경제사회 문제를 구분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한·일 양국 간 최대 현안인 강제징용 배상 문제에 대해선 "사람이 만든 문제이기 때문에 해결 방법이 있을 것이다. 서로의 용기와 결단이 있어야 한다"면서도 "(다만) 한국에는 삼권 분립의 원칙이 있다. 대법원의 결정에 정치가 개입할 수 없는 것을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우리 대법원이 강제징용 손해배상 소송에서 일본이 배상해야 한다고 판결하자, 일본 정부는 작년 7월부터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의 한국 수출을 규제했다. 이에 이 지사는 "(한국 기업에) 일부 고통을 주는 효과가 있었지만, 일본 기업도 손해를 봤다"고 말했다.
그는 "경기도에 진출하려는 일본 기업이 있으면 정치적 이유로 방해하지 않고 받아들였다"며 "한국의 고용과 경제도 활성화되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한·일 양국은 '윈·윈'의 길을 찾아 관계 개선으로 연결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 지사는 정체한 남북 관계와 관련해선 유럽의 경제·평화·안보 공동체 같은 동북아 전체의 공동체를 지향해야 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그는 "남북한과 일본, 미국, 중국, 러시아가 적대하지 않고 서로 돕는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 모두의 이익이 되지 않겠는가"라고 반문하면서 비핵화 협상에서 한국 정부가 인내심을 갖고 북·미가 합의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지원을 계속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경제에 대해서는 "소비를 진작시켜 경제를 살리려면, 가처분 소득을 늘리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방안에 대해 "국민의 최저소득을 정부가 보상하는 기본소득이 유효하다"며 "재정지출로 소비를 진작시켜 수요를 창출하면 경제에 선순환이 생긴다"고 설명했다.
여권의 유력 대선주자로 떠오른 이른바 이재명 대망론에 대해서는 "대선까지 1년 반 정도 남았다"며 "한순간에 변하는 민심을 잡기 위한 노력 보다는 공직자로서 일하겠다"며 말을 아꼈다.
자신의 솔직한 발언이 인기를 얻고 있는 데 대해서는 "돈이 있고 언론에 영향력이 있는 정치인은 가급적 직접적인 발언은 피하지만, 기득권이 없는 나는 국민의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마음을 보여줘야 한다"며 "득실을 따지지 않고 국민 눈높이에서 이야기하는 것이 공감을 얻는 것 같다"고 말했다.
[맹성규 기자 sgmaeng@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