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비정규직, 한달에 평균 171만원 번다…정규직과 통계작성 이래 최대 격차
입력 2020-10-27 15:06  | 수정 2020-10-27 15:35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급여 차이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비정규직 근로자가 한 달에 버는 돈이 약 171만 원으로, 정규직 월급과의 격차가 2004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로 조사됐습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평균 근속기간 차이는 5년 8개월로 1년 전보다 더 벌어졌고,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비정규직이 30.7시간, 정규직은 40.7시간으로 10시간 차이가 났습니다.

오늘(27일)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 정규·비정규 월급 격차 152만3천 원…역대 최대

올해 6∼8월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171만1천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만8천 원(1.0%) 감소한 것입니다.


반면 정규직 월평균 임금은 1년 전보다 6만9천 원(2.2%) 증가한 323만4천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임금의 차이는 152만3천 원으로 2004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최대입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일시 휴직자가 늘어난 영향"이라고 밝혔습니다.

비정규직 가운데 시간제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전년보다 2만4천 원 줄어든 90만3천 원이었습니다. 또 파견 또는 용역, 재택근로자를 통칭하는 비전형근로자의 임금은 185만4천 원, 한시적 근로자의 임금은 185만7천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모두 합친 임금근로자 임금은 월 268만1천 원이었습니다.

임금근로자의 59.5%가 월급제로 임금을 받고 있고, 연봉제가 18.7%, 시급제가 10.5%였습니다.

비정규직 가운데서는 월급제(44.0%), 시급제(24.2%) 순이었고, 정규직은 월급제(68.3%), 연봉제(25.6%)가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비정규직 일자리를 자발적으로 택했다는 대답은 1.4%포인트 늘어난 56.6%였습니다. 자발적으로 택한 사유는 근로조건에 만족(56.6%)이 가장 많았습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평균 근속 기간 차이는 5년 8개월로 작년보다 더 커졌습니다.

정규직 근로자의 현재 직장에서 평균 근속기간은 8년 1개월(8월·이하 동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개월 늘었습니다. 비정규직은 2년 5개월로 1년 전과 같았습니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비정규직은 작년보다 0.1시간 줄어든 30.7시간, 정규직은 1.9시간 늘어난 40.7시간으로 격차는 10시간이었습니다.

전체 임금근로자의 평균 취업시간은 주 37.1시간이었습니다.

◇ 비정규직 사회보험 가입률…고용·건강보험↑, 국민연금↓

비정규직의 사회보험 가입률은 고용보험 46.1%, 건강보험 49.0%로 1년 전보다 각각 1.2%포인트, 1.0%포인트 늘었습니다. 반면 국민연금은 37.8%로 0.1%포인트 하락했습니다.

비정규직 가운데서도 한시적 근로자와 시간제 근로자의 사회보험 가입률은 올랐으나, 비전형 근로자의 가입률은 떨어졌습니다.

임금근로자의 근로복지 수혜율을 보면 시간외수당은 1년 전보다 1.8%포인트 늘어난 50.0%, 유급 휴일은 1.7%포인트 오른 64.6%였습니다. 퇴직급여는 0.8%포인트 줄어든 73.2%였습니다.

비정규직의 경우 수혜율이 퇴직급여 40.4%(2.5%포인트↓), 상여금 37.6%(0.6%포인트↓), 유급휴일 34.1%(1.1%포인트↑), 시간외수당 27.5%(1.6%포인트↑)로 각각 집계됐습니다.

최근 1년간 직업능력 향상을 위해 교육 및 훈련을 받았다는 응답은 52.5%로, 지난해보다 1.7%포인트 떨어졌습니다.

임금근로자 근로계약서 서면작성 비율은 74.0%로, 이 가운데 정규직은 76.2%(1.9%포인트↑), 비정규직은 70.2%(3.9%포인트↑)였습니다.

전체 노동조합 가입 비율은 12.3%로 전년과 동일했습니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노동조합 가입률은 3.0%로 지난해와 동일했습니다.

유연근무제 활용현황을 보면 임금근로자의 14.2%인 289만8천명이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남성의 활용률이 15.9%로, 여성(12.0%)보다 높았고 기혼이 14.2%로 미혼(14.0%)보다 높았습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19.9%로 가장 높았습니다.

유형별로 보면 시차출퇴근제 31.2%, 탄력적 근무제 29.1%, 선택적 근무시간제 26.4%, 재택 및 원격 근무제 17.4% 등이었습니다.

유연근무제를 활용하지 않은 근로자 가운데서 이를 희망하는 비율은 40.9%로 나타났고, 대다수가 선택적 근무시간제와 탄력적 근무제, 근로시간 단축 근무제를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