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스타투데이 한현정 기자]
대세 유아인(34)이 돌아왔다. 쉼 없는 행보에도 언제나 새로운, 높은 기대치에도 매번 그것을 채우고야 마는, 그의 또 다른 얼굴을 볼 수 있는 영화 ‘소리도 없이(감독 홍의정)를 통해서다.
최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만난 유아인은 늘 그렇듯 밝은 미소로 취재진을 맞이했다. 영화계는 물론 관객들의 관심도 뜨겁다”고 인사를 건네니, 그는 감사할 따름”이라며 많은 분들이 우리 영화를 기다려주시고 반겨주시는 것 같아 감사하고 지금의 좋은 기운이 잘 전해져 우리 영화에 내주시는 시간이 즐겁고 의미 있었으면 좋겠다”고 진심을 담아 답했다.
소리도 없이는 유괴된 아이를 의도치 않게 맡게 된 두 남자가 그 아이로 인해 예상치 못한 사건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범죄 조직을 돕는 일이 일상이 되어 버린 채, 묵묵히 자기 일을 해 가며 살아가는 태인(유아인 분)과 창복(유재명 분)은 이 사건으로 진짜 범죄자가 돼 간다.
물론 모두가 반긴 건 아니에요.(웃음) 변화에 대한 기대 저편에는 (제작진 분들 중 몇몇은) 이게 과연 맞는 것일까 ‘어울릴까 등의 우려를 표하기도 하셨거든요.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다른 모습을 보여드리고 싶은 마음이 있었으니까. 새 감독, 새 작품, 새 캐릭터지만 유아인은 새롭지 않으니 다른 무언가가 필요했어요.”
생각보다 살찌우는 게 힘들었다”는 그는 사실 감독님은 더 증량하길 원하셨던 것 같은데 촬영을 하면 그 자체로 다이어트가 되는 몸이라 그 정도를 유지하기도 힘들었다”며 웃었다. 쉴 때는 네 다섯끼 씩 챙겨 먹으며 찌웠지만 촬영에 들어가자 예민해지고 시간이 없어 유지가 쉽지 않았단다.
유아인은 화면에 불룩한 배가 비춰질 땐 별거 아닌데도 개인적으로는 이상한 충격이 있었다”면서도 그런데 일각에선 ‘극단적 외모 변화를 모르겠다는 말도 하더라. 변신에 대해 너무 당연한 것처럼, 별다를 것 없이 받아들이는 그런 피드백들도 주시더라. ‘아 이건 또 어떻게 감당해야 할까 그런 생각이 들기도 한다”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그동안 강렬한 평가를 받았던 작품들은 나를 다른 방식으로 쓰고 싶다는 고민과 욕심이 컸던 시기에 만났던 작품들이었다. 배우로서 조금 다른 걸 보여주고 싶다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이전과는 다른 무게감이나 태도로 대했고 그 때마다 배우는 게, 느끼는 게 저마다 달랐다. 계속해서 그런 작업들을, 도전들을 해야 하는 직업이니까”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소리도 없이는 어떤 의미, 작업이었나라고 물으니, 나에겐 희망, 어떤 상황에서도 또 다른 새로운 순간을 기다리게 하는 느낌을 준 작품”이라고 답했다.
명확성 속 불명확성? 우리가 어떤 상황에 대해 판단하고 단정하는 습성을 상쇄시키는 힘을 주는 영화라고 생각해요. 저마다 다른 느낌을 받을 테죠. 그래서 어떤 새로운 관점을, 생각의 패턴을 제시하는 영화라고 생각해요. 옳다 그르다, 선이다 악이다, 범죄다 아니다 등에 대해 판단하기를 보류하고 그럼에도 어떤 상황에서도 자그마한 희망을 그려내야 하는 감독님의 애정이 담겨 있죠. 모호한 메시지, 판단할 수 없는 가치이지만, 그것을 지양하지만 우리 영화의 태도만큼은 윤리적이라고 생각해요.”(인터뷰②에 계속)
kiki2022@mk.co.kr[ⓒ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세 유아인(34)이 돌아왔다. 쉼 없는 행보에도 언제나 새로운, 높은 기대치에도 매번 그것을 채우고야 마는, 그의 또 다른 얼굴을 볼 수 있는 영화 ‘소리도 없이(감독 홍의정)를 통해서다.
최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만난 유아인은 늘 그렇듯 밝은 미소로 취재진을 맞이했다. 영화계는 물론 관객들의 관심도 뜨겁다”고 인사를 건네니, 그는 감사할 따름”이라며 많은 분들이 우리 영화를 기다려주시고 반겨주시는 것 같아 감사하고 지금의 좋은 기운이 잘 전해져 우리 영화에 내주시는 시간이 즐겁고 의미 있었으면 좋겠다”고 진심을 담아 답했다.
소리도 없이는 유괴된 아이를 의도치 않게 맡게 된 두 남자가 그 아이로 인해 예상치 못한 사건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범죄 조직을 돕는 일이 일상이 되어 버린 채, 묵묵히 자기 일을 해 가며 살아가는 태인(유아인 분)과 창복(유재명 분)은 이 사건으로 진짜 범죄자가 돼 간다.
영화 `소리도 없이` 스틸컷. 유아인은 `태인`을 표현하기 위해 15kg을 증량했다.
특히 이번 영화에서 대사가 없는 것은 물론 무려 체중을 15kg이나 늘려 새로운 도전에 나선 유아인은 인물을 표현하는 데 있어 그 모습이 더 자연스러울 것 같았다. 겉모습으로는 위압감을 주기도 하지만 그것을 배신하는 의외의 내면을 지닌, 텍스트로만 봤을 때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이미지와는 다른 반전을 주고 싶기도 했다. 나 자신이 이미 많이 소비된 배우이기 때문에 의외의 모습으로 캐릭터에 신선함을 입히고 싶었다”고 설명했다.물론 모두가 반긴 건 아니에요.(웃음) 변화에 대한 기대 저편에는 (제작진 분들 중 몇몇은) 이게 과연 맞는 것일까 ‘어울릴까 등의 우려를 표하기도 하셨거든요.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다른 모습을 보여드리고 싶은 마음이 있었으니까. 새 감독, 새 작품, 새 캐릭터지만 유아인은 새롭지 않으니 다른 무언가가 필요했어요.”
생각보다 살찌우는 게 힘들었다”는 그는 사실 감독님은 더 증량하길 원하셨던 것 같은데 촬영을 하면 그 자체로 다이어트가 되는 몸이라 그 정도를 유지하기도 힘들었다”며 웃었다. 쉴 때는 네 다섯끼 씩 챙겨 먹으며 찌웠지만 촬영에 들어가자 예민해지고 시간이 없어 유지가 쉽지 않았단다.
유아인은 화면에 불룩한 배가 비춰질 땐 별거 아닌데도 개인적으로는 이상한 충격이 있었다”면서도 그런데 일각에선 ‘극단적 외모 변화를 모르겠다는 말도 하더라. 변신에 대해 너무 당연한 것처럼, 별다를 것 없이 받아들이는 그런 피드백들도 주시더라. ‘아 이건 또 어떻게 감당해야 할까 그런 생각이 들기도 한다”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그동안 강렬한 평가를 받았던 작품들은 나를 다른 방식으로 쓰고 싶다는 고민과 욕심이 컸던 시기에 만났던 작품들이었다. 배우로서 조금 다른 걸 보여주고 싶다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이전과는 다른 무게감이나 태도로 대했고 그 때마다 배우는 게, 느끼는 게 저마다 달랐다. 계속해서 그런 작업들을, 도전들을 해야 하는 직업이니까”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소리도 없이는 어떤 의미, 작업이었나라고 물으니, 나에겐 희망, 어떤 상황에서도 또 다른 새로운 순간을 기다리게 하는 느낌을 준 작품”이라고 답했다.
유아인은 `소리도 없이`에 대해 "호불호는 있겠지만 많은 이야깃거리와 생각할 거리가 담겼다"고 소개했다. 제공| UAA
그는 이 작품이 상당히 많은 것을 말하고 있고, 담고 있다. 범죄를 미화하면 안 되겠지만 영화라는 프레임 자체가 그런 부분이 결코 없지 않고. 선과 악의 경계 그 모호함 속에서 단정지을 수 없는 인간의 본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면서 호불호는 분명 존재한다. 해석에 따라 누군가에겐 불쾌할 수도 있고 누군가에겐 반가울 수도 있다. 너무 많은 이야깃거리가, 생각거리가 담겨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명확성 속 불명확성? 우리가 어떤 상황에 대해 판단하고 단정하는 습성을 상쇄시키는 힘을 주는 영화라고 생각해요. 저마다 다른 느낌을 받을 테죠. 그래서 어떤 새로운 관점을, 생각의 패턴을 제시하는 영화라고 생각해요. 옳다 그르다, 선이다 악이다, 범죄다 아니다 등에 대해 판단하기를 보류하고 그럼에도 어떤 상황에서도 자그마한 희망을 그려내야 하는 감독님의 애정이 담겨 있죠. 모호한 메시지, 판단할 수 없는 가치이지만, 그것을 지양하지만 우리 영화의 태도만큼은 윤리적이라고 생각해요.”(인터뷰②에 계속)
kiki2022@mk.co.kr[ⓒ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