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국토부 산하기관의 자회사까지 `캠코더`
입력 2020-10-08 17:42 
국토교통부 25개 산하기관 임원 10명 중 3~4명은 문재인 대통령이나 더불어민주당 관련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공공기관에서 비정규직 직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 위해 만든 자회사들의 대표도 대부분 '낙하산' 인사들로 드러났다. 전문성이 요구돼야 할 국토부 공공기관에 코드인사가 지나치게 집중된 데다 각종 이권도 이들 회사에 많이 걸려 있어 문제의 소지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8일 국토부가 이종배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국감 자료에 따르면 국토부 산하 25개 기관 임원 241명 중 90명(37.3%)이 '캠코더(캠프·코드·더불어민주당)' 인사로 파악됐다. 앞서 국민의힘은 공공기관 임원 중 캠코더 비율이 17.1%라고 발표했는데, 국토부 산하기관은 그 비중이 두 배를 넘는 셈이다.
자료에 따르면 캠코더 인사로 분류된 임원 중 대선 캠프 출신 임원은 13명, 코드 인사는 34명, 민주당 관련 인사는 43명이다.
5명은 기관장, 13명은 감사, 68명은 상임 또는 비상임이사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부기관장이나 본부장은 4명으로 드러났다.

한국공항공사에선 2018년 임명된 손창완 사장, 문명학 상임감사와 비상임이사 4명이 코드인사여서 임원 12명 중 절반에 달한다는 지적이다. 민주당 경기 안산 단원을 지역위원장을 맡았던 손 사장은 20대 총선에서 낙선한 뒤 사장에 발탁돼 보은 인사 논란이 일었다. 문 상임감사는 민주당 총무조정국 국장, 민주연구원 운영기획실장, 민주평통 상임위원을 지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2017년 문 대통령의 당 대표 시절 미디어특보를 지낸 허정도 상임감사위원이 캠코더 인사로 지목됐고, LH 비상임이사 8명 중 6명도 캠코더 인사로 분류됐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도 이재광 대표를 비롯해 비상임이사 7명이 모두 캠코더 인사로 지목됐다.
올해 임명된 국토부 산하기관 임원 중에선 민주당 경북도당 대변인을 지낸 김두진 코레일관광개발 대표, 민주당 지역위원장 직무대행 출신의 이상호 한국도로공사 비상임이사, 민주당 비례대표 의원을 지낸 장하나 한국교통안전공단 비상임이사, 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출신으로 지난 총선에서 청주 서원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이광희 코레일로지스 비상임이사 등이 꼽혔다.
국토부 산하기관의 자회사들 대표이사 상당수도 문재인정부와 민주당 출신 등 친여권 인사들로 드러났다.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실이 국토부에서 자료를 받아 분석한 결과 올해 8월까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목적으로 설립된 자회사 13곳 중 10곳의 대표가 친문(친문재인)·친노(친노무현) 성향 인사들로 조사됐다.
친여 인사가 공공기관장으로 임명된 뒤 자회사를 만들어 다시 친여 인사를 임명하는 '새끼치기' 양상도 보였다.
[손동우 부동산전문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