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년여간 서울과 수도권 갭투자자 가운데 30대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부동산 투기의 대표적인 사례로 지목한 갭투자가 사실 청년 실수요자의 내집 마련 수단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28일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수도권 연령대별 주택거래 현황'에 따르면 2019년에서 2020년 8월간 서울에서 이뤄진 갭투자 7만1564건 중 30대가 차지한 비중은 30.7% (2만1996건)로 나타났다. 20대 비중은 3939건으로 5.5%였다. 서울의 갭투자자 3명 중 1명은 2030세대인 셈이다.
같은 기간 서울의 자치구 중 30대의 갭투자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곳은 성동구로 39.6%(1175건)였다. 다음으로 강서구(35.4%), 중구(35.2%), 동작구(34.7%),구로구(34.1%) 순이었다. 신혼부부 또는 사회초년생이 서울에서 실거주 매매가 가능한 지역이 대부분이었다.
경기도 성남(36.2%)과 과천(33.3%), 광명(29.9%), 안양(35.2%), 구리(32.2%)에서 이뤄진 갭투자 중에서도 30대 비율이 최다였다. 내집 마련 기회를 놓칠까 불안한 청년 세대의 갭투자가 수도권 전역에 걸쳐 일어났다는 분석이다.
한편 갭투자 차단을 위한 강력한 대출규제 내용이 담긴 6.17대책 발표 이후에도 30대의 갭투자는 꾸준히 이어졌다. 서울시 기준 지난 5월 31.0%던 30대 비중은 6월 32.9%, 7월 31.9%로 지속됐으며 8월에는 37.6%까지 상승했다. 내 집 마련의 마지막 기회를 놓치지 않으려는 30대의 패닉바잉이 원인이란 분석이다.
김상훈 의원은"정부는 실수요와 투기를 구분하지 않고 갭투자 자체를 시장 교란의 온상으로만 취급했다"며 "무분별한 갭투자 규제는 자칫 2030청년세대의 내집 마련 사다리를 걷어차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동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