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정부 "그린 바이오 5대 유망산업 규모 2030년까지 12.3조 규모로 육성"
입력 2020-09-21 13:24  | 수정 2020-10-05 14:06

정부가 마이크로바이옴, 대체식품·메디푸드, 종자, 동물용 의약품, 생명소재 등 그린바이오 5대 유망산업 규모를 오는 2030년까지 2배 이상으로 키우기 위한 '그린바이오 융합형 신산업 육성방안'을 21일 내놨다.
이날 열린 제3차 혁신성장전략회의 겸 제36차 경제장관회의에서는 생명자원을 활용하는 그린바이오 산업을 미래 핵심산업으로 인식하고, 작년 4조5000억원 수준이었던 그린바이오 산업 규모를 오는 2030년까지 12조3000억원으로, 고용규모를 2만명 수준에서 4만3000명으로 각각 확대하기 위한 청사진이 확정됐다.
정부는 "그린바이오를 기반으로 한 핵심기술개발, 빅데이터, 인프라, 그린바이오 전주기 지원, 그린바이오 융합산업 생태계 구축을 통해 5대 유망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키우겠다"고 강조했다.
육성방안은 산업기반을 구축하고 기업의 기술 개발, 자금 마련, 시험·평가, 시제품 출시 등 전 주기를 지원해 선순환할 수 있는 그린바이오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됐다.

우선 5대 유망분야를 중심으로 핵심기술을 선정하고 기술개발 로드맵 마련이 추진된다. 이에 따라 유전체와 기능성분 정보 등 분야별 빅데이터는 기업의 요구 수준에 맞게 구축하고 인공지능(AI) 기술 등의 활용을 지원한다.
분야별 지원기관을 통해 인프라와 솔루션을 지원하고 관련 기관이 보유한 시설·장비를 연구장비포털에 등록해 활용도와 접근성을 높인다.
또 특수대학원을 설립하고 그린바이오 석사 과정 계약학과를 신설해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지역별 특화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해 산업 생태계 구축도 추진된다. 정부는 그린바이오 중점 육성지역을 선정하고 연구기관·기업의 집적화를 유도해 산·학·연과 시장이 상호 연계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창업기업 보육을 위한 사무실 임대, 연구시설·장비, 네트워킹 공간 등을 제공하는 '그린바이오 벤처 캠퍼스' 건립을 검토하기로 했다.
5대 유망산업별로 보면 마이크로바이옴은 프로바이오틱스, 생물농약·비료·사료첨가제, 환경 분야가 중점 육성될 예정이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 내 미생물 생태계의 총합을 의미한다. 과거 미지의 영역으로 인식됐지만, 유전체 분석기술이 발달하면서 인체·작물 등과 미생물 군집 간의 상호작용 분석이 가능해져 새로운 영역으로 떠올랐다.
대체식품·메디푸드는 핵심기술 개발과 시장 창출에 집중한다. 대체식품 핵심기술이 선진국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안전관리기준을 마련한다.
종자산업은 디지털기반 산업으로 전환한다. 유전자 가위, 디지털 육종 등 신(新) 육종 기술에 대한 투자가 집중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동물용 의약품은 동물 백신 개발과 줄기세포 활용 지원을 강화한다. 단백질 재조합 기술 등을 활용한 동물백신 R&D와 상용화를 지원하고, 시험·평가, 시제품 생산을 지원한다.
기타 생명소재 산업 육성은 곤충, 해조류, 산림소재 등에 대해 이뤄진다. 곤충 스마트 사육 시스템 구축과 규제 개선을 추진하고, 홍합·해조류 등을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또는 의료소재의 개발·상용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한경우 기자 case1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