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이호승 靑경제수석 "통신비 지원 비판? 이해불가"
입력 2020-09-14 11:11  | 수정 2020-09-21 11:36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은 코로나19(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경제대책으로 정부가 마련한 전국민 통신비 지원책을 두고 정치권 안팎에서 뒷말이 나오자 "통신비를 매달 내야 하는 일반 국민 입장에서 보면 그 금액이 무의미하다고 얘기하는 것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경제수석은 14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 때 "한 가족에 중학생 이상 3명, 4명이라고 가정할 때 6만원, 8만원의 통신비 절감액이 생기는 것 아닌가"라며 전국민 통신비 지급에 대한 일부 우려를 반박했다.
이 수석은 야권에서 제기한 '통신비 대신 독감 예방주사 지원안' 및 여권 내 김경수 경남도지사가 제기한 '무료 와이파이망 확충안'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그는 "독감예방접종을 위한 백신을 3000만명분 확보했으나 (추가 백신은) 금방 만들 수 있는 게 아니다"라며 "무료 와이파이망 확충도 장비가 필요해 당장은 실행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0일 오전 청와대에서 비상경제회의를 주재하면서 코로나19 긴급대책으로 '전국민 통신비 지급'이 포함된 7조8000억 원 규모의 4차 추가경정안을 발표했다. 전국민 통신비 지급은 만13세 이상 1인당 통신비 2만원을 지급하는 게 핵심이다.
다만 범여권 성향의 야당 내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문 대통령 발표가 있던 날 국회에서 열린 상무위원회 때 "맥락도 없이 끼어들어간 통신비 2만원 지원 계획은 황당하다"며 "두터워야 할 자영업자 지원은 너무 얇고, 여론 무마용 통신비 지원은 너무 얄팍하다"고 우려했다.
여권의 유력한 대권주자인 이재명 경기도지사도 당시 한 라디오에 출연해 "통신비는 직접 통신사로 들어가기 때문에 효과가 없다"며 "영세 자영업자나 동네 골목의 매출을 늘려주는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털어놨다.
[우승준 기자 dn1114@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