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공공의 적 될 필요 있나요"…전세버스업체, 개전철집회 운송 속속 거부
입력 2020-09-11 17:01  | 수정 2020-09-18 17:04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의 주범으로 지난달 서울 도심에서 열린 광화문 집회가 지목된 가운데, 전세버스 사업자들이 다음달 개천절 집회 땐 참가자 운송을 거부하겠다고 속속 선언하고 나섰습니다.

80개 업체가 소속된 충북 전세버스운송조합은 지난 10일 광화문 집회 관련 전세버스 임대와 운행을 전면 거부하기로 결의했습니다.

강석근 조합 이사장은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상황에서 운행거부 결정이 쉽지 않았지만, 추가 확산을 막는 게 경영난을 타개할 유일한 길이라는 데 의견을 모아 만장일치로 운행 거부를 결정했다"고 말했습니다.

전북 전세버스운송사업조합도 이날 "개천절 집회 때 (서울 광화문으로 가는) 전세버스 운행을 절대 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습니다. 이 지역에서는 광복절 광화문 집회 당시 40여대의 버스가 교회 신도 등을 태우고 상경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운송 수입이 급감한 바 있습니다.


이 조합 관계자는 "개천절 집회에 또다시 전세버스를 운행했다가 코로나19가 확산하면 수입 감소를 넘어 도산이 현실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경남 전세버스운송사업조합 역시 광화문 집회 관련 운행자제를 요청하는 공문을 모든 회원사에 보냈습니다.

조합 측은 "회원사의 이익을 대변하는 조합이 운행 중단을 강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어서 집회를 불허하는 정부 방침에 협조해 달라고 요청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강원 전세버스운송사업조합도 적극적인 운행자제 방침을 세웠습니다.

조합 관계자는 "광복절 집회 참가자를 태운 뒤 확진자가 나와 호된 곤욕을 치러야 했다"며 "어찌보면 전세버스 사업자가 광복절 집회로 직격탄을 맞은 최대 피해자"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다른 시·도에서도 운행중단 등을 강제할 수는 없지만 운행을 기피하는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한 전세버스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온 나라가 예민해진 상황에서 공공의 적이 될 필요가 있겠느냐"며 "집회 관련 운행을 할 경우 탑승자 명부 작성도 부담이고 얻는 것보다 실이 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