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내수지표 개선 주춤한데 코로나19 재확산…실물경제 불확실성 커져"
입력 2020-09-11 10:45  | 수정 2020-09-18 11:36

"최근 우리 경제는 일부 내수지표의 개선세가 다소 주춤한 가운데 수출·생산의 부진 완화 흐름이 이어졌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과 거리두기 강화 영향으로 실물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됐다."
기획재정부는 11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9월호)'에서 "대외적으로는 주요국 실물지표 개선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글로벌 코로나19 확산세 지속 등으로 개선 속도는 다소 둔화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8월 소비 관련 속보치는 긍정·부정적 요인이 혼재했다.
카드 국내 승인액은 1년 전보다 3.4% 증가했다. 코로나19 타격이 컸던 3월(-4.3%), 4월(-5.7%) 두 달 연속 감소했다가 5월(5.3%), 6월(9.3%), 7월(4.8%)에 이어 넉달째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증가율은 둔화됐다.
백화점 매출액은 7.7% 줄어 6월 0.4%에서 7월에 -2.9%로 전환한 뒤 감소폭이 커졌다. 반면 온라인 매출액은 35.5% 늘었다.

국산 승용차 내수 판매량은 10.7% 늘었지만, 개별소비세 인하폭 축소 마지막달인 6월(44.9%)과 비교하면 증가폭이 크게 줄었다.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유커)는 97.1% 감소했다.
소비자심리지수(CSI)는 88.2로 전월보다 개선됐으나, 여전히 기준선인 100을 크게 밑돌고 있다.
8월 수출은 1년 전보다 9.9% 감소했으나, 일평균 수출액은 3.8% 줄었다.
기업심리를 보여주는 제조업BSI(기업경기실사지수)는 8월 실적(66)과 9월 전망(68) 모두 전월보다 상승했다.
8월 국내 금융시장은 주가가 상승하고 환율은 하락했으며 국고채 금리는 상승했다. 8월 일평균 주식거래대금은 1년 전보다 31.0% 늘었다.
8월 주택시장의 경우 매매가격 상승폭(0.47%)은 7월(0.61%)보다 축소됐으나, 전세가격 상승폭(0.44%)은 7월(0.32%)보다 확대됐다.
[디지털뉴스국 news@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