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작황분석 국제기구 "북한 곡창지대 연이은 폭우, 식량난 심화할 듯"
입력 2020-09-11 09:14  | 수정 2020-09-18 09:37

올해 북한의 남부 최대 곡창지대에 1981년 이후 가장 많은 비가 내렸다고 '지구관측 글로벌 농업 모니터링 그룹'(GEOGLAM)이 분석했다.
9일(현지시간) GEOGLAM이 공개한 최신 보고서에서는 "올해 북의 식량 생산량이 연이은 폭우와 홍수로 예년보다 크게 줄어들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올해 작황 기간인 4∼9월 북한에는 이례적으로 많은 비가 내렸는데, 강수량 대부분은 8월 한 달간 집중돼 주요 곡물 생산지인 황해도, 평안도 일대에 홍수를 야기했다. 본격 수확철인 이달 중에도 평년 이상의 강수량이 예고돼 홍수가 추가로 발생할 위험이 있다고 진단했다.
2018년과 2019년 최악의 가뭄과 고온 현상, 홍수 등으로 수확량이 줄어든 이후라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이어 북한 인구 40%가 식량 부족에 직면했다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식량계획(WFP)의 지난해 합동 조사를 언급하며, 올해는 코로나19와 심각한 수해로 인해 더욱 상황이 나빠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스위스에 본부를 둔 GEOGLAM은 2011년 주요 20개국(G20) 농업장관들이 뜻을 모아 세운 국제기구다.
[디지털뉴스국 news@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