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민족 대이동`이 `코로나 대이동`될까봐…추석 앞두고 깊어가는 귀성 고민
입력 2020-09-04 14:28  | 수정 2020-09-05 14:37

서울 영등포구에 거주하는 회사원 정 모씨(27·남)는 올해 추석을 앞두고 고민이 깊다. 다가오는 추석 명절에 고향인 대구를 방문할지 말지 아직 결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는 "오랜만에 가족들도 보고, 좀 쉬러 가고 싶다가도 괜히 나 때문에 가족·친지 중 누구 한 명이라도 (코로나19)에 걸리면 어쩌나 싶어 망설여진다"고 했다.
추석이 어느덧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지금, 추석 귀성을 둘러싼 논쟁이 격렬하다. 대부분은 "이동하지 말자"고 주장하지만, 반대의견도 나온다.
이동 반대를 외치는 이들은 "코로나19 사태 진정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한다.
서울 성동구에 거주하는 대학생 황 모씨(24)는 "지금 추석이 문제가 아니다"라며 "이러다 진짜 2020년 다 가게 생겼다. 귀성길에 인파 몰릴 거고, 친척들끼리 둘러앉아 식사할 텐데 그러면 진짜 난리 난다. 이동 금지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비슷한 내용의 청와대 국민청원도 등장했다. 지난달 16일 게재된 "추석 명절 기간 록다운과 장거리 이동제한 조처가 필요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은 4일 오후 1시 기준 4만5000명 이상의 동의를 얻었다. 이 글에서 청원인은 "우한에서 번진 코로나19가 중국 설 연휴를 기점으로 중국 전역 및 전 세계로 확산한 것을 상기해야 한다"며 "명절 시즌에 코로나19를 봉쇄하지 않으면 겉잡을 수 없는 사태로 번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외에도 관련 청원 중 "이동 벌초 및 추석 명절 모임을 금지해주세요"는 약 2만9000명, "이번 추석 연휴 제발 없애주시길 부탁드립니다"는 약 1만 명의 동의를 받았다.
이같은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 이들도 있었다. 서울 은평구에 거주하는 30대 주부 박 모씨는 "(이동 금지하면) 추석 대목으로 먹고사는 과수산업종사자들이나 어민, 시장상인들은 어떡하느냐"며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회사원 이 모씨(29·여) 역시 "무조건 이동금지가 답은 아닌 것 같다. 추석 연휴에 못 움직이게 하면 그 전주나 전전 주에 연차 써서 미리 고향 다녀오는 사람들 있을 것 같다"며 이동금지 조치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구인구직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이 43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추석 연휴에 고향을 방문을 계획하는 이들은 35.1%, 방문하지 않을 것이라는 이들은 31.3%로 나타나 귀성 여부를 두고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음을 보여줬다. 33.4%는 아직 고향 방문 여부를 결정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귀성길에 오르지 않거나 아직 방문 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역시 코로나19 확산 염려(52.4%, 복수응답)였다.
이날 정부는 수도권에 시행 중인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1주일 더 연장하고, 나머지 지역은 2단계 적용 기간을 2주 연장하기로 했다. 아울러 다가오는 추석 연휴가 코로나19 재확산의 분기점이 되지 않도록 방역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홍연우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