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의대 교수진 "제자들 불이익 시 집단행동" 잇단 성명
입력 2020-08-28 16:54  | 수정 2020-09-04 17:04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전공의의 무기한 파업이 이어지는 가운데 의과대학 교수들이 제자들을 보호하겠다는 취지의 성명을 잇달아 내고 있습니다.

28일 의료계에 따르면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뿐 아니라 개별 의과대학 교수들도 잇따라 성명을 내고 정부와 의료계의 결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정부에게 9월 1일부터 시작되는 의사 국가고시 실기시험을 연기하고, 관련 정책을 의료계와 원점에서 재논의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국시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의대생들이 시험을 치르지 못하는 상황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아서입니다. 현재 의사 국시를 접수한 3천172명 중 약 90% 상당인 2천823명이 응시를 취소한 상황입니다.


이날 울산대 의대 교수들은 "원점에서부터 의료계와 협의해달라"고 호소하는 성명을 발표했고, 전날 성균관 의대 교수들도 "논의 재시작과 국시 연기"를 제안했습니다.

이들은 모두 제자들이 이번 단체행동으로 불이익을 받을 경우 가만히 있지 않겠다고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경희대 의대 교수진 역시 "정부는 정책을 즉각 철회하고 원점에서 재논의하고 이 과정에서 단 한명도 불이익을 받지 않아야 한다"며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 모든 수단을 도모해 집단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다른 주요 상급병원에서도 제자들을 보호한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지만, 집단휴진 등 단체행동에 동참할지에 대해서는 내부 의견이 갈리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고려대 의대 교수들은 파업과 관련한 내부 설문을 하면서 상황을 주시하고 있고 세브란스병원과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는 교수들이 파업 등 집단휴진 등에 나설 움직임은 아직 보이지 않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이날 업무개시명령에 불응한 3개 병원 응급실 전공의 10명을 서울지방경찰청에 고발 조치했습니다.

의협은 '탄압'이라고 규정한 뒤 복지부 간부를 직권남용으로 고발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강대강 대치로 치닫는 모습입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