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바이든 '전대 효과' 미미했다"…트럼프엔 큰 차이로 앞서
입력 2020-08-26 09:02  | 수정 2020-09-02 09:04

지난주 미국 민주당의 전당대회 이후 조 바이든 대선 후보에 대한 이른바 '컨벤션 효과'는 거의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컨벤션 효과란 전당대회 후 한동안 대선 후보의 인기가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다만 여론조사에서 바이든 후보는 여전히 트럼프 대통령에게 큰 차이로 앞섰습니다.

현지시간으로 오늘(25일)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와 여론조사기관 모닝컨설트가 전날 공개한 전대 후 바이든 후보의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48%는 그에게 호감이 있다고 했습니다. 비호감이라고 한 비율은 46%였습니다. 이는 전대 이전의 호감 비율(46%)보다 약간 올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우 호감 비율이 42%에 그쳤지만 호감을 갖고 있지 않다는 응답은 56%에 달했습니다.

이 조사는 전당대회(17∼20일) 이후인 21∼23일 등록유권자 1천992명을 대상으로 실시(오차범위 ±2%포인트)됐습니다.

여론조사기관 유고브와 야후뉴스가 21∼23일 시행한 여론조사에서는 바이든 후보를 지지한다는 비율이 50%를 기록, 트럼프 대통령 지지(39%)보다 11%포인트 높았습니다.

이는 전대 이전인 14∼15일 조사에서 바이든 49%, 트럼프 38%를 보인 것과 본질적으로 변함이 없다고 유고브는 설명했습니다.

바이든 후보 호감도는 전대 이전보다 3%포인트 오른 52%를 기록, 과반을 차지했습니다.


호감도가 다소 오르기는 했지만, 전통적으로 전당대회 이후 나타난다고 여겨진 컨벤션 효과가 두드러지지 않은 데 대해서는 여러 평가가 나옵니다.

유고브는 "1968년 이후 전국 투표에서 후보들의 투표 점유율은 전당대회 후 평균 5%포인트 증가했다"며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에는 정치적 양극화로 인해 이런 상승 효과가 줄었다고 전했습니다.

예년과 달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행사가 화상으로 진행된 탓에 흥미가 반감, 영향을 줬을 가능성도 있지만, 유고브는 전대를 시청한 이들의 3분의 2(64%)가 행사를 우수하다고 평가했다면서 영향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봤습니다.

이 조사는 1천145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오차범위는 약 ±4%포인트입니다.

데이터 분석가 데이비드 바일러는 워싱턴포스트(WP)에 컨벤션 효과와 관련, "아무리 큰 도약이 있더라도 추진력을 유지할 수 있어야 도움이 된다"며 "잠깐의 급상승보다 중요한 것은 각 캠프가 전당대회 반응에서 배우는 교훈과 그 데이터를 사용해 앞으로 나아가는 방법"이라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