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文-여야 대표회담 무산에…靑-통합당 "네탓" 공방
입력 2020-08-17 14:56  | 수정 2020-08-24 15:07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21일 여야 대표 회동을 제안했지만 야당인 미래통합당이 불참을 통보하면서 무산됐다.
청와대는 코로나19 사태, 부동산 문제 등 현안을 논의하자는 입장이지만 미래통합당은 청와대의 국면 전환용 '꼼수'라며 신경전을 벌였다.
17일 최재성 청와대 정무수석은 "여야정 상설협의체를 분기별 개최한다는 합의에 따라 의제에 국한되지 않고 국정전반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했으나 미래통합당이 불가하다고 밝혀왔다"고 말했다. 최 수석은 지난 13일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을 예방한 자리에서 오는 21일 회담을 개최하자며 초청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브리핑은 최 정무수석이 임명된 후 첫 공식브리핑이다.
문재인 대통령. <사진출처=청와대>
앞서 지난 2018년 여야는 '여야정 상설협의체'를 분기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올들어 지난 2월 국회에서 문대통령과 정당대표간 회동이 진행됐고, 5월에는 당시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가 청와대로 초청돼 회담이 열렸다. 최 수석은 "3개월에 한번씩 한다는 합의에 따라 8월에 하자고 제안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김은혜 미래통합당 대변인은 "청와대는 회담을 공식 제안한 적이 없다"며 "힘으로 밀어붙이는데 익숙해지더니 대화마저 강매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김 대변인은 "빈말로 지나가듯 언저리에 던져놓고 마치 저희가 거부해서 성사가 안된 것처럼 떠넘기고 있다"며 "국면 전환 쇼에 무턱대로 따르라 하면 저희는 따를 수 없다. 무례하다"고 청와대를 강하게 비난했다. 특히 통합당 입장에선 부동산 실정 등으로 문대통령의 국정지지도와 집권여당 지지율이 동반 추락하는 상황에서 자칫 문대통령의 해명만 듣는 '들러리'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담을 계속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최 수석은 "문 대통령의 여야정 대화 제안은 언제든 열려있다"며 "코로나 확산, 수해, 경제위기 등 국가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정치권이 힘과 지혜를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하지만 여야 대표회담에 대한 통합당의 거부감이 큰데다 당장 민주당 전당대회가 29일로 다가오면서 문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동은 사실상 새 지도부 출범 이후로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
[임성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