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산업이 제조업이나 일반금융(비보험) 등 다른 산업에 비해 고용유발효과가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30일 보험연구원이 발표한 '보험산업의 일자리창출 효과' 이슈보고서에 따르면, 산업별 고용유발효과는 제조업 4.9명, 일반금융 5.6명, 금융보조 7.3명인데 비해 보험산업은 14.8명으로 보험산업의 고용유발효과가 가장 높았다.
고용유발효과는 해당 산업에서 10억원의 매출(생산)이 발생할 경우 유발되는 총 고용자 수를 의미한다.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로 구분된다.
특히 보험산업은 타 산업에 비해 간접 고용유발효과가 커 유관 산업의 고용을 유발하는데 긍정적인 것으로 추정됐다. 보험산업의 간접 고용유발효과인 9.9명을 산업별로 보면 비금융서비스 5.85명, 금융보조서비스 2.94명, 제조업 0.64명의 고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슈어테크와 건강관리서비스는 IT산업과 보건·의료의 고용창출에도 기여하는 바가 크기 때문에 보험산업의 인슈어테크 활성화와 건강관리서비스 확대가 일자리창출에 긍정적일 것으로 분석됐다.
[이승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