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간기능 검사 등에 쓰이는 형광물질을 폐조직에서 폐암 부위를 식별하는데 사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21일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고려대 및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팀이 수술 절제범위를 최소화하도록 형광조영제를 흡입해 폐암 병변을 정확하게 탐색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형광조영제를 토대로 한 폐암탐색 기법이 개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형광조영제를 정맥에 주입하면 암 조직에 축적되는 경향에 대한 보고를 바탕으로 형광조영제를 혈관에 투여해 폐암세포를 찾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됐다. 단 형광조영제를 과량 사용해야 하고 몸 전체에 분포되기 때문에 부작용 우려가 크다는 우려가 있었다. 또 암 조직에 축적되기까지 하루정도를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연구팀은 형광조영제를 혈관에 투입하는 방식이 아닌 흡입하도록 해 이같은 문제를 해결했다. 흡입 방식을 사용하자 형광조영제가 보다 효율적으로 폐에 도달할 수 있었다. 폐포 구조가 파괴된 폐암 조직에는 형광조영제가 도달하지 않아 정상 폐포만 형광색을 보여 어두운 폐암 조직의 경계면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했다. 흡입 방식은 형광조영제의 사용량을 20배가량 줄여 다른 장기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흡입 후 10분 뒤 폐암병변을 확인할 수 있어 수술 편의성도 높였다. 연구팀이 생쥐와 토끼에 흡입기를 통해 형광조영제를 흡입시킨 결과 정맥투여에 비해 2배 정확하게 폐암 조직의 경계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폐암 수술의 합병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폐암 경계면을 정밀하게 탐색해 절제수술 중 정상조직 절제를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단 실제 임상적용을 위해서는 형광조영제를 흡입한 경우의 독성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한 만큼 연구진은 관련된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김현구 고려대학교 흉부외과 교수는 "소량의 형광조영제 흡입을 통해 폐암을 탐색하는 방법은 폐암 최소절제 수술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로 독성평가 후 식약처 허가를 통해 실용화가 가능하다"며 "흡입방식에서의 독성에 관한 추후 연구가 진행되어야만 임상에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미국의사협회가 발행하는 외과분야 최상위 국제 학술지 '자마 서저리(JAMA Surgery)'에 지난달 24일 게재됐다.
[이종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