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앞서 보신 것처럼 서울시가 외부전문가가 참여하는 민관합동조사관을 구성해 조사하겠다고 밝혔지만, 권한과 중립성에 한계가 있어 '수사 불가피론'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강제 수사를 한다 해도 진상 규명이 쉽지 않을 듯합니다.
손기준 기자가 전합니다.
【 기자 】
서울시가 외부전문가가 참여하는 민관합동조사단을 통해 진상 규명에 나서겠다고 했지만, 객관성과 공정성을 인정받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피해를 호소한 직원이 사건이 공론화되기 전 동료 직원 등에게 피해를 밝히고 부서 이동을 요청했지만 무시당했다는 주장이 변호인을 통해 나왔기 때문입니다.
민관합동조사단이 수사기관과 달리 강제 조사권이 없는 점도 문제입니다.
박 전 시장의 측근인 서울시 전직 정무라인 인사들에 대한 조사조차 쉽지 않습니다.
대면 조사를 포함해 전자기기에 대한 정밀 분석도 병행돼야 하는데, 조사단의 권한을 한참 벗어나는 일입니다.
이 때문에 검찰과 경찰 등 수사기관의 강제 조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데, 야당에선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와 특검 얘기까지 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주호영 / 미래통합당 원내대표(그제)
- "당에 들어온 제보에 의하면 서울시장 비서실 차원의 성추행 방조·무마가 지속적으로 이뤄졌다는 내용입니다. 책임 있는 사람은 엄벌해야 할 것으로 봅니다."
하지만, 이미 의혹의 당사자가 고인이 된 상태라 진상 규명이 원활하게 이뤄지기 어렵다는 말도 나오고 있습니다.
MBN뉴스 손기준입니다.
영상편집 : 오광환
앞서 보신 것처럼 서울시가 외부전문가가 참여하는 민관합동조사관을 구성해 조사하겠다고 밝혔지만, 권한과 중립성에 한계가 있어 '수사 불가피론'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강제 수사를 한다 해도 진상 규명이 쉽지 않을 듯합니다.
손기준 기자가 전합니다.
【 기자 】
서울시가 외부전문가가 참여하는 민관합동조사단을 통해 진상 규명에 나서겠다고 했지만, 객관성과 공정성을 인정받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피해를 호소한 직원이 사건이 공론화되기 전 동료 직원 등에게 피해를 밝히고 부서 이동을 요청했지만 무시당했다는 주장이 변호인을 통해 나왔기 때문입니다.
민관합동조사단이 수사기관과 달리 강제 조사권이 없는 점도 문제입니다.
박 전 시장의 측근인 서울시 전직 정무라인 인사들에 대한 조사조차 쉽지 않습니다.
대면 조사를 포함해 전자기기에 대한 정밀 분석도 병행돼야 하는데, 조사단의 권한을 한참 벗어나는 일입니다.
이 때문에 검찰과 경찰 등 수사기관의 강제 조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데, 야당에선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와 특검 얘기까지 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주호영 / 미래통합당 원내대표(그제)
- "당에 들어온 제보에 의하면 서울시장 비서실 차원의 성추행 방조·무마가 지속적으로 이뤄졌다는 내용입니다. 책임 있는 사람은 엄벌해야 할 것으로 봅니다."
하지만, 이미 의혹의 당사자가 고인이 된 상태라 진상 규명이 원활하게 이뤄지기 어렵다는 말도 나오고 있습니다.
MBN뉴스 손기준입니다.
영상편집 : 오광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