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세종 스마트시티 첫삽…2000조 시장에 한국도 뛰어들었다
입력 2020-06-30 17:53  | 수정 2020-07-01 00:05
◆ 한국 스마트시티 본궤도(上) ◆
2025년 가을 세종 스마트시티에 거주하고 있는 벤처기업인 김세종 씨가 출근 준비를 하고 집 밖으로 나서자 무인 전기공유차가 대기해 있다. 세종 스마트시티 안에 '개인 차량'은 진입하지 못한다. 무인 공유차량이 어디를 가는지, 차량 내에서 이용자가 어떤 콘텐츠를 보는지 등 개인 정보는 비식별 암호화를 거쳐 중앙데이터센터로 보내진다. 세종 스마트시티에 들어온 벤처기업은 이 같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업 전략을 짜고 새로운 실험에 도전한다. 점심을 먹고 가슴이 답답함을 느낀 김씨는 손목에 찬 스마트시계로 자신의 증상을 근처 병원에 전송한다. 의사와 간단한 원격진료를 마친 김씨는 드론 택배를 통해 알약 두 알을 전달받아 복용한다. 그의 하루하루 건강 정보와 의료 기록도 모두 저장돼 비식별 상태로 데이터센터에 저장된다. 세종시에 몰려든 글로벌 메디컬기업은 신약 개발과 임상시험 기간을 줄이기 위해 김씨의 '생생한' 의료 정보를 활용한다.
개인 정보를 기업에 아낌없이 제공한 김씨에게도 혜택은 있다. 지방자치단체에서 그에게 보내준 가상화폐로 주택 난방료, 공유차 이용료, 약값 등 세종시 내에서 지출하는 비용 상당 부분을 충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 스마트시티 조성 사업이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5년 후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가 2000조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시장 선점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는 평가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30일 세종시 5-1생활권에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용지 조성 공사가 시작됐다고 밝혔다. 작년 11월 말 부산 에코델타시티가 착공된 데 이어 세종시까지 공사가 시작되면서 한국의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세종 스마트시티 시범도시는 274만3000㎡ 규모 용지에 △혁신벤처스타트업존 △비즈니스앵커존 △스마트리빙존 등으로 구성된다. 기존 용도지역에 기반한 도시계획에서 벗어나 사업 주체가 필요에 맞게 도시를 설계하고 심의받을 수 있게 만든다. 일자리창출형과 직주혼합형 건물은 추가로 용적률을 부여해 초고층 복합 개발도 가능하다. 2023년 4월 주민 입주가 목표다. 이 도시는 △모빌리티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환경 △거버넌스 △문화·쇼핑 △일자리 등 7대 혁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7대 서비스 중 가장 역점을 둔 것은 모빌리티다. 시범도시 내 혁신벤처스타트업존에는 개인이 소유한 자동차가 진입할 수 없다. 외부에 마련한 주차장에 차량을 세워두는 대신 자율주행차량이나 공유차량(전기·수소 기반) 활용을 극대화하고, 5세대(5G) 통신으로 교통 흐름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교통 빅데이터를 만든다. 드론, 로봇, 무인차를 통한 택배 배송과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 이동수단에 대한 실험도 이뤄진다.

정부가 세종 스마트시티 시범도시를 통해 추구하는 목표는 간단하다. 첨단 기술을 도시에 실제로 적용하고, 이를 활용하는 시민 삶의 질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스마트시티즌'의 행동은 다시 빅데이터화해서 기업에 제공해 신제품이나 새로운 서비스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활용한다.
글로벌 스마트시티 시장규모는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마케츠앤드마케츠는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가 2023년 6172억달러(약 726조원)로 연평균 18.4%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른 시장조사기관인 프로스트앤드설리번은 2025년까지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가 2조5000억달러(약 2600조원), 글로벌 컨설팅그룹 맥킨지는 2025년 최대 1조7000억달러(약 1909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스마트시티 주도권을 쥐려는 세계 각 나라는 완성된 스마트시티를 최대한 빨리 많이 확보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김갑성 스마트시티특위 위원장(연세대 교수)은 "드론, 자율주행차 같은 기술이 테스트되고 적용되며 진화하는 그릇이 바로 스마트시티"라면서 "요즘 나라들끼리 경쟁도 이쪽에 집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세종과 부산 시범도시 건설을 맡을 민관 공동 사업추진체계(SPC)도 2021년까지 설립하기로 했다. 도시 성패가 4차 산업혁명 서비스에 달린 만큼 민간 참여가 절실하다고 봤기 때문이다. SPC는 도시 내 스마트서비스 구축·운영·선도지구 조성 추진 등을 담당하게 된다.
[손동우 부동산전문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