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탈북민 가족 감시 강화한 北…남한정착 탈북민 송금·통화 끊겨
입력 2020-06-28 08:20 
북한서 계속되는 대북전단 살포 비난 항의집회(서울=연합뉴스)

북한이 탈북민 가족에 대한 감시와 통제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8일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그동안 지방 보위기관에서 해오던 탈북민 가족에 대한 감시 업무를 중앙 보위기관이 직접 담당하도록 통제를 강화했다. 그동안에는 남쪽에서 송금이 이뤄지면 이 중 일부를 같은 지역에 거주해 안면이 있는 보위원에게 건네는 방식으로 감시를 피할 수 있었다.
고위층 출신 탈북민 A씨는 "중앙기구가 총괄 관리한다는 건 지역 보위부에서만 관장했던 탈북민 가족 관리를 중앙에서 다 보고받고 엄격히 통제하겠다는 것으로 감시 통제 체계를 중앙으로부터 지역까지 세운 것"이라며 "감시 통제 강도가 엄청나게 세지고 각 지역에 중앙의 파견관이나 검열그루빠(단속반)도 항시 상주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함북 무산군 등 북·중 접경지역에 현재 중앙 보위기관의 '검열 그루빠'가 파견됐다는 말을 들었다"고 덧붙였다.

감시와 통제가 강화함에 따라 탈북민이 북쪽의 가족에 대한 송금과 전화 통화 등이 사실상 차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탈북민의 상당수는 북한에 있는 가족의 생활·의료·교육비 등을 지원하기 위해 브로커(중개인)를 통해 북쪽으로 송금을 한다. 북한인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조사 대상 탈북민 431명 중 61.3%(264명)는 북한에 있는 가족에게 송금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대북 송금자의 1회 평균 송금액은 161만8557원이었으며 연간 최고 송금액은 2300만원, 최저 송금액은 25만원으로 집계됐다.
탈북민이 브로커에게 송금하면 이중 20∼30%를 수수료 명목으로 떼고 북쪽의 가족에게 전달하는데, 브로커는 이 과정에서 가족이 돈을 받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북중접경지역에서 직접 통화를 연결해준다. 또 최근 들어 통제가 강화하면서 가족과 연락이 닿지 않는 탈북민도 크게 늘었다.
각종 집회를 통해 사회적으로 탈북민 가족에 대한 혐오 정서가 확산하면서 그동안 남쪽에서 받은 송금으로 부러움의 대상이었던 데서 감시와 신고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탈북민은 "북한의 가족들과 남측 탈북민, 브로커들까지 연락과 송금을 중단한 채 극도로 조심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news@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