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서민 주거안정과 분양보증 공공성 강화를 위한 방안 추진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위축에 대응하고 서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이번 방안에는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등 주요 보증상품의 보증료 인하와 개인채무자의 지연배상금 감면, 임차권등기 대행 및 공공 임대주택 임차인 보호 등 서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개선 등이 포함됐다.
구체적으로 임차인의 주거안정을 지원하는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임대보증금보증, 주택임차자금보증, 전세자금대출특약보증 등 4개 보증상품의 보증료는 오는 7월1일부터 올해 말까지 70∼80% 인하하고, 대국민 지원 효과가 높은 후분양대출보증 등 9개 상품의 보증료율은 올해 말까지 30% 인하한다. 이번 인하는 해당 기간 내에 보증발급 분에만 적용한다.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및 전세자금대출특약보증의 보증료율은 전세보증금이 2억원 이하인 경우 80%, 2억원 초과인 경우 70% 인하한다.
특히 전세보증금이 2억원 이하이고, 임차인이 다자녀(3자녀 이상)·장애인 등인 경우에는 기존 보증료 할인(40%)까지 감안하면 88%의 보증료 할인 효과가 발생한다.
개인채무자의 채무부담 완화·재기 지원을 위해서는 올해 말까지 한시적으로 보증상품별로 지연 배상금을 40∼60% 감면한다.
지금까지는 전세보증금반환보증에 가입한 임차인이 보증이행을 청구하는 경우 임차인이 직접 임차권등기를 신청했는데, 앞으로는 HUG가 임차권등기 신청을 대신 수행해 임차인의 시간과 비용 부담을 줄여준다는 방침이다.
공공임대주택에 대해 부도 등 주택임대보증사고 발생 시 임차인 대표를 포함한 전담팀을 구성해 신속한 보증이행을 실시한다. 전담팀에는 HUG 본사·영업부서 부서장을 비롯한 임차인 대표(필요시 지자체 포함)가 참여해 임차인 보호를 강화할 계획이다.
HUG는 주택공급의 안정성 제고를 위해 주택분양보증 보증료를 50% 한시적으로 인하하고, 분양보증사고 발생 시 주거약자에 대한 신속한 환급이행을 추진한다.
사업주체의 부도·파산시 분양계약자의 계약금·중도금을 보호하는 '주택분양보증'(주상복합·오피스텔포함) 보증료율을 올해 말까지 50% 인하해 주택사업자 부담도 줄인다.
주거약자(사회배려계층 등)에 대한 보증이행 절차를 간소화해 신속하게 환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분양보증 사고 시 주거약자에게는 이행방법 통지·결정 절차를 생략하고 즉시 환급받을 수 있도록 개선해 약 2개월 치의 대출이자 부담 등을 경감시킬 예정이다.
이재광 HUG 사장은 "이번 공공성 강화방안 시행을 통해 서민들의 주거부담을 완화하고 서민경제의 안전판 역할을 확대하여 공사의 공적 기능을 보다 강화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HUG는 정부의 주거복지정책을 충실히 지원해 서민주거 복지 및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미연 기자 enero2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