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인천시, 대북전단 차단 나서…살포 예상지에 집합금지
입력 2020-06-17 10:30  | 수정 2020-06-24 11:05

북한의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폭파로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인천시 등이 탈북민간단체의 대북전단과 관련해 살포 예상지역을 집합금지 지역으로 고시하는 등 관계기관과 공동으로 강력하게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인천시는 오늘(17일) 강화군·옹진군·인천지방경찰청·중부지방해양경찰청과 함께 탈북민간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와 쌀 페트병 보내기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대북전단 살포행위 등을 원천 차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들 기관은 전날 최장혁 인천시 행정부시장 주재로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열고 기관별로 역할을 나눠 시민 안전 도모에 전력을 기울이기로 했습니다.

인천시는 대북전단과 쌀 페트병 살포 행사를 예정하고 있는 4개 단체에 행사 자제를 강력히 요청하기로 했습니다.


경찰은 경찰관직무집행법(위험발생의 방지 등)에 따라 강화군 석모도에서 대북전단 살포나 쌀 페트병 보내기가 가능한 14곳에 대한 경비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경찰과 강화군은 강화군민들이 선착장 등의 길목을 차단하고 전단과 쌀 페트병 살포에 반대하는 상황에서 서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방침입니다.

인천시와 해경은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바다에 뿌려지는 페트병을 해양쓰레기로 보고 단속과 수거를 병행하기로 했습니다.

인천시는 대북전단이 육지에 떨어지는 경우 불법 전단으로 보고 옥외광고물법에 따라 과태료 처분 등의 조치를 할 예정입니다.

쓰레기 수거에 투입된 비용은 행사 주최 단체에 청구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강화군은 탈북민단체가 21일 강화군에서 '쌀 보내기' 행사를 예고하고 있어 주민 불안이 커지는 점을 고려해 행사가 열릴 가능성이 있는 석모도 항포와 사하동 선착장 등 2곳을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금지 지역으로 고시하기로 했습니다.

최 부시장은 "전단 살포에 대한 주민 불안과 남북관계의 악화, 수도권의 코로나19 확산 등을 고려해 관련 단체들에 전단 살포 자제를 강력히 요청한다"면서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계기관과 협력해 가능한 모든 조치를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