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북한, 연락채널 차단으로 불통시대된 남북…다음 조치는?
입력 2020-06-09 17:48  | 수정 2020-06-16 18:37

북한이 대북전단 살포 문제를 이유로 9일 정오부터 남북간 통신연락 채널을 완전히 차단했다.
2018년 1월 3일 복원된 이후 2년 5개월 만에 남북이 다시 불통시대가 된 것이다.
특히 북한은 남한을 '적'으로 규정하며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 등 추가 조치도 예고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남북관계가 다시 2018년 이전의 대결구도로 회귀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6월 9일 12시부터 북남 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유지해 오던 북남 당국 사이의 통신연락선, 북남 군부 사이의 동서해통신연락선, 북남통신시험연락선, 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와 청와대 사이의 직통통신연락선을 완전 차단·폐기하게 된다"고 알렸다.
김여정 당 제1부부장과 김영철 당 중앙위 부위원장이 전날 대남사업 부서 사업총화회의에서 "대남사업을 철저히 대적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배신자들과 쓰레기들이 저지른 죗값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한 단계별 대적사업 계획들을 심의"한 뒤 통신 연락선 완전 차단 지시를 내렸다고 통신은 전했다.
이같은 보도 이후 북한은 실제 이날 통일부와 군의 통화 시도에 일절 응하지 않았다.
통일부는 오전 9시와 북한이 통보한 채널 차단시점인 정오에 연락사무소 채널로 통화를 시도했지만 받지 않았다.
통항 오후 5시에 마감통화가 이뤄졌지만 역시 통화를 하지 못했다.
이런 상황은 군도 마찬가지다. 이날 오전 9시와 오후 4시에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을 통해 북측에 통화를 시도했으나 역시 응답하지 않았다.
북한의 이같은 행동에 정부는 대응방안을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이번 조치가 끝이 아니라는 것이다.
북한은 '첫 단계'라고 말하며 추가 조치를 시사했다.
이에 따라 북한은 다음 수순으로 남북간 적대행위 중지를 명기한 9·19 군사합의를 파기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상규 기자 boyondal@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