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고가아파트 대출 막자 소형아파트 가격 `쑥`
입력 2020-06-09 17:21  | 수정 2020-06-09 19:48
본격적인 고가 주택 대출 규제가 시작된 지난해 12·16 부동산대책 이후 서울의 소형 아파트값 상승률이 중대형 아파트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대출이 쉬운 소형 아파트라도 구매하려는 수요가 높아 가격까지 덩달아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
집값을 안정시키려고 시작했던 정부의 대출 규제가 오히려 소형 아파트의 가격 상승을 초래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9일 부동산114에서 발표한 서울 구별·면적별 아파트 매매가격 추이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소형(전용면적 60㎡ 이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3.3㎡당 2923만원으로 작년 12월 대비 3.6%(101만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중대형(85㎡ 초과) 아파트값이 1.4%(3118만원→3161만원) 오른 것과 비교하면 2.6배나 높은 것이다. 중소형(60㎡ 초과~85㎡ 이하) 아파트값 상승률 2.2%(2856만원→2920만원)와 비교해도 1.6배 높다.
송인호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략연구부장은 "소형 아파트일수록 정책 변수 영향을 크게 받는다"면서 "대출 규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소형으로 수요가 몰려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아파트값이 강세를 보이는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나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보다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등 서울 외곽 지역의 오름폭이 크게 나타났다. 조사 기간인 5개월 사이 노원구의 소형 아파트값은 평균 6.8% 올랐고 도봉구는 4.8%, 강북구는 8.3%씩 뛰어 서울 평균 상승률을 상회했다. 서울 외곽 지역으로 꼽히는 성북구(6.6%), 구로구(6.3%), 관악구(6.3%) 등도 6% 이상 상승했다.
실수요자 보호를 기치로 내건 정부지만 결과적으로는 실수요자 비중이 제일 높은 소형 아파트의 가격 상승을 부추겼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좋은 의도로 시작한 정책이라도 시장에서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면 수정할 필요가 있다"며 "주택 수요를 진정시킬 수 있는 신호를 시장에 보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거래가격을 살펴보면 노도강 지역은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아파트 전용 58㎡가 올해 1월 중순 6억원에 매매됐던 것이 지난달 20일 6억8000만원에 팔려 4개월 사이 8000만원(13.3%) 올랐다. 도봉구 창동 주공4단지 전용 41㎡는 1월 12층이 3억500만원에 팔렸고, 같은 층이 지난달에는 3억3800만원에 거래돼 10.8%(3300만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로구 신도림동 미성아파트 전용 52㎡는 1월 5억3000만원에서 3월 5억9800만원으로 12.8%(6800만원), 구로동 한신아파트 44㎡는 1월 3억4600만원에서 4월 말 3억9700만원으로 14.7%(5100만원) 올랐다.
임병철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1인 가구 증가로 소형 아파트 수요가 늘어나는 것도 가격 상승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축복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