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日, 디지털화폐 속도…민간 은행 "서두르자"
입력 2020-06-03 13:50  | 수정 2020-06-10 14:07

일본 대형 금융사들과 민간 기업들이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 시대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본의 3대 대형은행과 주요 통신사, 유통업체 등이 참여해 디지털 화폐 관련 보고서를 만들어 정부에 제안키로 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3일 보도했다.
일본은행에서 "디지털 엔화 발행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가운데 민간에서 중앙은행의 대응을 촉구하겠다는 것이라고 신문은 평가했다. 디지털 화폐 발행으로 인한 장단점 분석은 물론 보안, 시스템 안정성 확보 등 불안요인에 대한 대응책도 제시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현재 각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발행하는 가상화폐를 전자결제업체들의 각종 페이와 상호 연계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논의에는 3대은행인 MUFG,미즈호, SMBC를 비롯해 JR동일본과 대형 통신사 및 유통사등이 10개사가 참여한다. 또 일본은행, 재무성 등에 대해서도 옵저버 참가를 요청할 예정이다. 민간 기업들이 이처럼 제안서 마련에 나선 것은 디지털 화폐에 대한 국제 논의에서 뒤쳐질 수 있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디지털 엔화 발행에는 소극적인 일본은행 역시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은 마찬가지다. 일본은행은 올해 초 유럽중앙은행(ECB)를 비롯해 영국, 스웨덴, 스위스, 캐나다 중앙은행, 국제결제은행(BIS)와 관련 연구조직을 결성했다. 2월에는 자체 연구팀까지 만들었다. 서두르고 있지만 이미 지난 5월 일부 지역에서 실제 발행에 나선 중국 인민은행에 비해서는 뒤쳐졌다는 것이 일반적 평가다. 앞서 자민당 등 정치권에서도 디지털화폐 발행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은 것도 이 때문이다.

한편 논의에 참여하는 금융기관가 기업들은 디지털 화폐 발행외에도 각 은행, 기업의 전자 화폐간 호환성 강화 등에 대한 논의도 진행키로 했다.
현금결제가 우선이다보니 이미 각종 전자결제, 가상화폐 등에서 일본이 한참은 뒤쳐져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국의 비현금결제 비율이 96% 수준인 것에 비해 일본은 19% 수준에 머물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비대면 업무가 늘면서 전자결제 등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것도 논의가 급물살을 타는데 한몫했다. 민간 은행의 전자화폐는 계좌와 직접 연동이 되지는 장점이 있지만 기업들이 내놓은 각종 페이에 비해서는 활용도가 떨어진다. 이에 비해 기업들의 전자화폐는 활용도는 높지만 은행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은행과 기업간 제휴를 통해 각 서비스의 단점을 보완해보자는 것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3대 대형은행의 전자화폐를 우리의 교통카드에 해당하는 JR동일본의 스이카와 연동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하철, 버스 등의 교통비 결제는 물론 편의점 등에서 일반 구매에도 사용되는 스이카는 현재 발행 매수만 8000만매에 달한다. 우선은 이미 J코인이란 이름으로 전자화폐를 발행 중인 미즈호은행과 스이카의 시스템 연계를 논의 중이다.
[도쿄 = 정욱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