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50년간 '여의도 면적의 821배' 국토 늘었다...인구밀도 1위는?'
입력 2020-06-03 10:10  | 수정 2020-06-03 10:54
사진=국토교통부 캡처

대한민국 국토면적이 지난 50년 동안 2,382㎢ 증가했습니다. 여의도 면적의 약 821배만큼 늘어난 셈입니다.

국토교통부는 국토정책 수립과 행정업무 활용에 기초가 되는 '2020년 지적통계연보(작년 12월 31일 기준)'를 발간한다고 오늘(3일) 밝혔습니다.

올해로 공표 50주년 맞이한 지적통계는 지적공부(토지·임야대장)에 등록된 면적 등을 기초로 해 행정구역별, 지목별, 소유구분별 등 국토 총면적 및 필지 수를 집계해 매년 공표하는 국가승인통계입니다.

이번에 발간하는 '2020년 지적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지적공부에 등록된 필지수는 3,899만3000필지입니다.


면적은 10만401㎢로, 최초 작성된 1970년 지적통계와 비교해 전 국토 면적이 2,382㎢ 증가한 규모였습니다. 이는 간척사업, 농업개발사업, 공유수면매립 등 각종 개발사업이 면적 확대에 기여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또한 지난 50년간 주요 지목별 면적 증감추이는 ▲생활용지(대·창고용지·공장용지) 3,119㎢ ▲도로 및 철도용지 1,878㎢ 증가한 반면, 1970년대 이후 산업화 및 도시화를 겪으면서 산림 및 농경지(임야·전·답·과수원)는 5,386㎢ 감소했습니다.

면적이 가장 큰 광역자치단체와 지방자치단체는 각각 경상북도 1만9033㎢와 강원 홍천군 1820㎢로 조사됐으며, 지목은 임야(63%), 답(11.1%), 전(7%) 순으로 비율이 높았습니다.

인구밀도는 광역자치단체가 서울, 부산, 광주 순, 지방자치단체는 서울 양천, 서울 동대문, 서울 동작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부는 '2020년 지적 통계연보'를 각종 토지 관련 정책수립, 조세부과 및 학술연구 등 보다 다양한 분야의 기초자료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공공기관, 도서관, 학교 등 280여 기관에 배부할 계획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