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확진자가 전국 곳곳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4년전 메르스를 겪었던 생존자들은 완치 후에도 정신건강에 문제를 가졌던 것으로 밝혀져 코로나19 환자도 정신건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립중앙의료원 이소희·신형식, 서울대병원 박혜윤·박완범, 서울의료원 이해우, 단국대병원 이정재, 충남대병원 김정란 연구팀은 2015년 메르스 당시 생존자 148명 중 63명의 정신건강을 분석한 결과, 메르스가 완치된 생존자 34명(54%)는 1년 후에도 한 가지 이상의 정신건강문제를, 42.9%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27.0%는 우울증을 겪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22.2%는 중등도 이상의 자살사고를, 28%는 불면증을 보였다.
생존자들은 감염자에 대한 사회의 낙인을 높게 인지할수록, 감염 당시 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외상후스트레스 장애 위험도가 높아졌다. 메르스로 가족이 사망했을 때는 우울증 위험이 올라갔다. 과거 정신과적 치료력이 있는 경우에는 두 가지 위험도가 모두 높았다. 감염 심각도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메르스와 코로나19는 이환율과 치사율, 정부와 사회의 대처 등에서 많은 차이가 있어 해석에 주의해야 한다. 그럼에도 감염증의 심각도 보다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감염증을 어떻게 경험하고 인지하는지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연구책임자인 이소희 박사는 "코로나19로 환자와 격리자의 정신건강에 대한 우려가 높은 상황에서 이번 연구는 환자의 정신건강 문제가 장기화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의의를 밝혔다. 박혜윤 교수는 "감염자에 대한 낙인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감염증 사태에서 사별이나 불안 등 심리사회적 어려움이 있는 환자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면 정신적 후유증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해외 유명 학술지 'BMC 공공의료(BMC Public Health)'최신호에 게재됐다.
[이병문 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