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정부 코로나19 치료용 `렘데시비르` 도입 준비중
입력 2020-05-29 14:17  | 수정 2020-06-05 14:37

에볼라바이러스 치료제로 코로나19 치료 대안으로도 기대를 모으는 '렘데시비르'가 국내에도 도입될 가능성이 커졌다. 정부가 해당 약물의 도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29일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서 "미국과 국내에서 진행되는 렘데시비르에 대한 임상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와 이 약물의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렘데시비르는 독감 치료제 '타미플루'를 개발한 미국 제약업체 길리어드사이언스가 개발한 에볼라바이러스 치료제로 사람 세포 속에 들어온 코로나19 바이러스 증식을 멈추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국립보건원(NIH)도 이 약물이 코로나19 환자의 회복 기간을 15일에서 11일로 단축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보고하기도 했다. 사망률의 경우 렘데시비르를 투약한 실험군이 7%, 그렇지 않은 비교군은 12%에 달했다.
정부는 현재 렘데시비르 긴급사용 승인과 특례수입을 검토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긴급사용 승인은 감염병 유행 상황에서 국내에서 사용 허가를 받지 않은 제품을 한시적으로 제조·판매·사용할 수 있게 한 제도이며 특례수입은 사전 신고 없이 외국에서 들여올 수 있게 한 제도다.
정부가 렘데시비르에 긴급사용 승인을 내리면 이 약물은 국내에서 사실상 첫 코로나19 치료제로 인정받게 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앞서 이달 초 렘데시비르를 산소 치료가 필요한 중증 이상 코로나19 환자에게 쓸 수 있도록 긴급사용을 승인했다.
[서진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