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방역당국 "교직원 60만 명 넘어…전체 진단 검사는 어렵다"
입력 2020-05-13 13:52  | 수정 2020-05-20 14:05

이태원 클럽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이 학교로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지만, 정부는 교직원 전체를 진단 검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오늘(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교직원 전수검사는 우리의 하루 검사 역량을 고려했을 때 현실적으로 쉽게 채택할 수 있는 수단인지 의문"이라고 말했습니다.

방역 당국은 일일 약 1만5천건의 코로나19 진단검사를 하고 있습니다. 전날에는 총 1만5천30건의 진단검사가 이뤄졌습니다.

김 총괄조정관은 "우리 교직원 전체 숫자가 60만 명이 넘는다"고 난색을 보이며 "전수조사 대신 표본 검사나 자발적 검사 유도 등 다른 대안을 고려할 수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와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등교 개학을 염두에 두고 있는 학부모님들 입장에서 굉장히 염려되는 사항"이라며 교직원 전수검사 요구가 나오는 상황을 인지하고 있다면서도 실제 시행은 어렵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에 앞서 서울시교육청은 4월 29일부터 5월 6일 사이 이태원 등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지역을 방문한 교직원 158명이 자진신고를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충북도교육청도 도내 교직원과 원어민 보조 교사 42명이 이 기간 이태원을 다녀온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다른 시도 교육청들도 관내 교직원들의 이태원 방문 여부를 파악 중입니다.

서울에서는 고등학생이 이태원 클럽을 다녀온 사례도 확인됐습니다. 이 학생은 음성 판정을 받고 자가격리 중입니다.

김 총괄조정관은 "해당 고교생은 음성으로 나타났기에 추가 조치는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 교육청에서 추가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혹시 확진자가 발생했다면 역학조사 등을 통해 필요한 조처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총괄조정관은 실기 수업을 이유로 사실상 등교 수업을 한 학교가 있다며 등교 수업 현황 조사를 해야 한다는 지적에는 "교육부와 협의하겠다"고 답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