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러시아 코로나19 하루에만 1만명 이상 확진…급증세 무서워
입력 2020-05-04 14:03  | 수정 2020-05-11 14:05

러시아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급증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현지시간으로 오늘(3일)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처음으로 1만명을 넘어섰습니다.

누적 확진자는 13만4천명을 넘어 세계 7위 규모까지 불어났습니다.

러시아 정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입·확산방지 대책본부는 이날 "지난 하루 동안 모스크바를 포함한 전국 85개 지역에서 1만633명의 추가 확진자가 나왔다"면서 "누적 확진자는 13만4천687명으로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수도 모스크바에서만 5천948명의 추가 확진자가 나오면서 누적 감염자가 6만8천606명으로 증가했습니다.


이밖에 모스크바 외곽 모스크바주에서 822명, 제2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295명, 중부 니줴고로드주 252명 등의 신규 확진자가 보고됐습니다.

전국의 코로나19 사망자는 하루 동안 58명이 추가되면서 1천280명으로 늘어났습니다.

정부 대책본부는 지금까지 확진자 중 1만6천639명이 완치됐으며, 전체 검진 검사 건수는 410만 건으로 늘었다고 전했습니다. 하루 검진 검사 건수는 20만 건을 유지했습니다.

대책본부는 또 신규 확진자의 약 50%가 무증상 감염자라고 소개했습니다.

러시아의 코로나19 확진자는 현지 보건당국이 하루 20만건에 달하는 대규모 검진 검사를 하면서 급속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날 신규 확진자 수(1만633명)는 전날 (9천623명)보다 1천명 이상 증가한 것으로 지난 1월 말 러시아에서 코로나19 첫 감염자가 발생한 이후 최대치입니다.

이로써 러시아의 누적 확진자 수는 독일에 이어 세계 7위 규모로 집계됐습니다.

하지만 실제 감염자 수는 이보다 훨씬 많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감염자가 집중된 모스크바의 세르게이 소뱌닌 시장은 전날 다양한 주민 부류에 대한 표본 검사 결과 실제 감염자가 전체 모스크바 주민의 2% 정도인 것으로 추산됐다고 밝혔습니다.

소뱌닌 시장은 그러면서 이는 코로나19 타격을 입은 세계 주요 도시들 가운데 가장 적은 수치라고 강조했습니다.

러시아 통계청에 따르면 모스크바시 상주 주민은 올해 초 기준 약 1천267만명으로 이 가운데 2%는 약 25만3천명입니다.

검진 검사를 통해 확진된 누적 감염자(6만8천606명)보다 훨씬 많은 주민이 실제로 발병했으나, 그 가운데 상당수가 감염 상태지만 아직 검사를 받지 못했거나 아니면 무증상으로 이미 완치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러시아는 전염병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오는 11일까지 전체 근로자에 대한 유급 휴무 조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국 주요 도시들은 주민 자가격리 조치를 계속 시행하고 있습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도 모스크바 서쪽 외곽 노보오가료보 관저에서 사실상의 격리 상태에서 업무를 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러시아 보건·위생·검역 당국인 '소비자 권리보호·복지 감독청'(로스포트레브나드조르) 청장 안나 포포바는 주민들이 1일부터 11일까지의 연휴 동안 자가격리 등의 제한 조치를 제대로 지키지 못하면 같은 기간까지 정해진 제한 조치 시한을 더 연장해야 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일각에선 최근 코로나19 급증세와 관련 제한 조치가 5월 말까지 연장될 것으로 관측합니다.

한편 러시아 보건부의 전염병 자문의 니콜라이 브리코는 이날 코로나19 증상에 대해 "무증상과 급성호흡기질환부터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을 동반한 다양한 정도의 폐렴, 혈관·신경계·다른 인체기관 손상에 이르기까지 아주 다양하다"고 소개했습니다.

그러면서 사실상 신체 거의 모든 기관이 감염증으로 손상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코로나19를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접착하는 ACE2 수용체는 기관지, 신장, 장, 방광, 회장, 심장, 중추신경계 등의 세포에 분포돼 있어 인체 모든 기관이 손상될 수 있다면서, 코로나19 입원 환자들 가운데 90% 이상에서 폐렴이, 50% 이상에서 파종성혈관내응고증(DIC)이, 약 15%에게서 급성 신장손상이, 20% 이상에서 심근손상이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