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편의점주協 "담배가 매출의 절반…소상공인 지원받게 해달라"
입력 2020-03-20 16:44 
지난달 27일 오전 경기도 과천시 신천지 신도 중 한 명이 아르바이트한 과천의 한 편의점에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편의점주들이 정부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피해와 관련된 실질적인 지원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익률이 낮은 담배가 총매출의 절반을 차지하지만, 영세 소상공인 지원 기준이 단순 매출액에만 초점을 맞춰 혜택을 보지 못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국편의점주협의회는 20일 '코로나19로 인한 편의점업계의 피해와 지원 요구안'을 발표하고 "정부가 영세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지원하기 위해 각종 지원대책을 내놨지만 편의점은 '패싱'되고 있다"며 편의점을 위한 지원책을 마련해줄 것을 정부에 요구했다.
협의회는 "코로나19 전염예방 대책으로 인해 도심지와 관광지, 유흥가, 학교인근 등 특수지역 편의점 매출은 일평균 매출이 10만원대로 떨어졌다"며 "매출이 급감했는 데도 편의점은 가맹계약으로 인해 휴점 또는 단축 영업을 할 수 없어 심각성이 가중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반면 왜곡된 수익 구조 탓에 정부의 영세 소상공인 지원에서 소외됐다는 게 협의회 측의 주장이다. 협의회는 "이익률이 낮은 담배 매출액이 총 매출의 절반에 이른다"며 "최저임금 상승으로 상품 판매가격이 인상됐으나, 이익률은 동일해 수익 왜곡현상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협의회는 ▲세금의 감면 기준을 매출과 소득을 병행 적용해 부가세 및 소득세 감면 ▲신용카드 매출세액 공제 확대(현행 1.3%→2.6%) ▲건강보험 등 준조세의 지원 또는 감면 ▲전기세, 수도료 등 공공요금 감면 등 편의점을 대상으로 한 정부의 지원을 요구했다.
아울러 통상 5년 이상인 편의점 장기 임대차 계약으로 인해 정부의 '착한 임대인 운동' 수혜를 보지 못하고 있다며 직접 지원을 요청했다.
협의회는 "정부의 대출지원은 1~2월 매출이 전년 동기간대비 10% 감소한 업소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나 편의점은 원가 및 매가 인상이 매출에 반영돼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이미 대출을 받은 경우 금리인하와 대출한도 증액 등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디지털뉴스국 신미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