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코로나19가 이제 각국의 경제까지 감염시키고 있습니다.
각국이 앞다퉈 내놓은 부양책에도 전 세계 금융시장은 출렁이고 있습니다.
경제부 이기종 기자 나왔습니다.
【 질문1 】
한국은행을 포함해 주요국이 전격적인 금리 인하에 나섰는데, 별 효과가 없었던 건가요?
【 기자 】
금리를 내려서 돈을 푸는 건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때의 해법입니다.
미국 주택시장 거품으로 금융사가 부실해진 여파가 확산된 금융위기 때는 이 방법이 먹혔는데 지금은 다릅니다.
코로나19로 자영업자와 기업, 그러니까 실물경제의 어려움이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요.
돈이 풀린다고 이들에게 흘러가는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금리가 이미 낮은데 더 낮춘다고 투자나 소비가 늘기도 어렵고요.
【 질문 2 】
그래서 금리 말고 정부 재정정책을 활용해야 한다는 얘기들이 나오죠.
【 기자 】
네, 금리 내리는 것도 필요하지만, 지금은 정부 재정정책이 힘을 발휘할 때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입니다.
11조 7천억 원의 추경안이 통과됐는데요.
2차 추경 편성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지만, 우선 통과된 추경이라도 코로나19 피해가 집중된 곳에 신속하게 집행돼야 할 겁니다.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자영업자나 소상공인 등에 직접적인 지원이 될 수 있도록 추경 쓰임새를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 추경안에 이들에 대한 지원은 2조 원 정도 밖에 되지 않고, 선별에 걸리는 절차도 문제입니다.
그래서 경제학원론의 저자 맨큐 하버드대 교수, 루비니 뉴욕대 교수는 전 국민에게 1천 달러, 120만 원씩 지급하라는 아이디어를 내기도 했습니다.
재난기본소득 개념과 비슷한데요.
하지만, 정부는 이런 방식에는 부정적입니다.
홍남기 경제 부총리는 국회에 출석해 재난기본소득 도입 여부에 대해 "전국민에게 지급하는 게 효율성이 있는지, 재원은 마련할 수 있는지 검토해 봐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상품권이나 현금을 지급하는 방안이 논의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 질문 3 】
금리가 내려가 유동자금이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데 어떨까요?
【 기자 】
부동산 시장은 규제의 영향으로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이미 거래가 위축되고 아파트 값도 하락 추세였는데요.
금리 인하가 부동산시장을 자극할 우려는 적어 보입니다.
안전자산인 금값까지 떨어지는 마당에 자산시장 가운데 부동산만 좋을 것이라고 보긴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입니다.
대출 규제도 여전히 촘촘하고요.
물론 코로나19 위기가 잦아든다면 저금리가 부동산을 다시 들썩이게 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 질문 3-1 】
금값 같은 안전자산까지 값이 내렸다는 건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요?
【 기자 】
그만큼 시장이 불안하다는 겁니다.
통상적으로는 주식 같은 위험자산 가격이 떨어지면 금을 사려는 사람이 많아지는데요.
지금은 자산의 종류에 관계없이 현금으로 바꿔 보유하겠다는 걸로 극단적인 현금선호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질문 4 】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파장 언제까지 갈까요?
【 기자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일단 자국 코로나19 사태가 올여름까지는 갈 거라고 전망했습니다.
들어보시죠.
▶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그들은 7월이나 8월,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 질문을 아주 많이 했습니다.
이탈리아 등 유럽은 더 심각하고요.
코로나19 확산세가 언제 잡힐지 사실 정확히 예측하긴 어려운데요.
문제는 예상보다 빨리 코로나19가 잡혀도 경제 파장은 꽤 오래갈 수 있다는 겁니다.
제가 머리를 자르지 못해 좀 깁니다. 하지만, 때를 놓쳤다고 해서 다음번에 머리를 두 번 자르는 게 아니잖아요.
견실한 대기업, 제조업은 잘 버텼다가 공장 가동률을 높일 수도 있지만, 외식, 숙박 등 서비스업 대부분은 이미 피해가 쌓이고 있습니다.
현재 방역이 최고의 경제대책이 됐지만, 방역과 함께 각국의 부양책이 효과적으로 시행돼야 경제 위기 확산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앵커멘트 】
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코로나19가 이제 각국의 경제까지 감염시키고 있습니다.
각국이 앞다퉈 내놓은 부양책에도 전 세계 금융시장은 출렁이고 있습니다.
경제부 이기종 기자 나왔습니다.
【 질문1 】
한국은행을 포함해 주요국이 전격적인 금리 인하에 나섰는데, 별 효과가 없었던 건가요?
【 기자 】
금리를 내려서 돈을 푸는 건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때의 해법입니다.
미국 주택시장 거품으로 금융사가 부실해진 여파가 확산된 금융위기 때는 이 방법이 먹혔는데 지금은 다릅니다.
코로나19로 자영업자와 기업, 그러니까 실물경제의 어려움이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요.
돈이 풀린다고 이들에게 흘러가는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금리가 이미 낮은데 더 낮춘다고 투자나 소비가 늘기도 어렵고요.
【 질문 2 】
그래서 금리 말고 정부 재정정책을 활용해야 한다는 얘기들이 나오죠.
【 기자 】
네, 금리 내리는 것도 필요하지만, 지금은 정부 재정정책이 힘을 발휘할 때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입니다.
11조 7천억 원의 추경안이 통과됐는데요.
2차 추경 편성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지만, 우선 통과된 추경이라도 코로나19 피해가 집중된 곳에 신속하게 집행돼야 할 겁니다.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자영업자나 소상공인 등에 직접적인 지원이 될 수 있도록 추경 쓰임새를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 추경안에 이들에 대한 지원은 2조 원 정도 밖에 되지 않고, 선별에 걸리는 절차도 문제입니다.
그래서 경제학원론의 저자 맨큐 하버드대 교수, 루비니 뉴욕대 교수는 전 국민에게 1천 달러, 120만 원씩 지급하라는 아이디어를 내기도 했습니다.
재난기본소득 개념과 비슷한데요.
하지만, 정부는 이런 방식에는 부정적입니다.
홍남기 경제 부총리는 국회에 출석해 재난기본소득 도입 여부에 대해 "전국민에게 지급하는 게 효율성이 있는지, 재원은 마련할 수 있는지 검토해 봐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상품권이나 현금을 지급하는 방안이 논의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 질문 3 】
금리가 내려가 유동자금이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데 어떨까요?
【 기자 】
부동산 시장은 규제의 영향으로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이미 거래가 위축되고 아파트 값도 하락 추세였는데요.
금리 인하가 부동산시장을 자극할 우려는 적어 보입니다.
안전자산인 금값까지 떨어지는 마당에 자산시장 가운데 부동산만 좋을 것이라고 보긴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입니다.
대출 규제도 여전히 촘촘하고요.
물론 코로나19 위기가 잦아든다면 저금리가 부동산을 다시 들썩이게 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 질문 3-1 】
금값 같은 안전자산까지 값이 내렸다는 건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요?
【 기자 】
그만큼 시장이 불안하다는 겁니다.
통상적으로는 주식 같은 위험자산 가격이 떨어지면 금을 사려는 사람이 많아지는데요.
지금은 자산의 종류에 관계없이 현금으로 바꿔 보유하겠다는 걸로 극단적인 현금선호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질문 4 】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파장 언제까지 갈까요?
【 기자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일단 자국 코로나19 사태가 올여름까지는 갈 거라고 전망했습니다.
들어보시죠.
▶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그들은 7월이나 8월,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 질문을 아주 많이 했습니다.
이탈리아 등 유럽은 더 심각하고요.
코로나19 확산세가 언제 잡힐지 사실 정확히 예측하긴 어려운데요.
문제는 예상보다 빨리 코로나19가 잡혀도 경제 파장은 꽤 오래갈 수 있다는 겁니다.
제가 머리를 자르지 못해 좀 깁니다. 하지만, 때를 놓쳤다고 해서 다음번에 머리를 두 번 자르는 게 아니잖아요.
견실한 대기업, 제조업은 잘 버텼다가 공장 가동률을 높일 수도 있지만, 외식, 숙박 등 서비스업 대부분은 이미 피해가 쌓이고 있습니다.
현재 방역이 최고의 경제대책이 됐지만, 방역과 함께 각국의 부양책이 효과적으로 시행돼야 경제 위기 확산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앵커멘트 】
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