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원베일리·둔촌주공 등…강남 재건축 시간 벌었다
입력 2020-03-17 17:19 
정부가 다음달 28일까지로 예정됐던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유예기한을 2~3개월 연장하기로 결정하면서 강동구 둔촌주공, 서초구 래미안원베일리(신반포3차·경남) 등 분양가상한제를 피하려던 관리처분 단계의 조합들이 다소 시간을 벌게 됐다.
촉박한 일정 탓에 사업 진행에 어려움을 겪었던 상당수 재개발·재건축 조합은 일정 연기를 검토하고 있다. 우선 원래 17일 대의원회의를 개최한 뒤 다음달 총회를 열 예정이었던 둔촌주공은 일정을 무기한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조합 측은 당초 이날 대의원회의를 열어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측이 제시한 분양가를 받아들일지 여부를 결정하는 총회 개최 일정을 논의할 예정이었다. 최찬성 둔촌주공 재건축 조합장은 "HUG 측의 공식 분양보증 거부 통보도 받지 못한 만큼 분양가 협상을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달 관리처분변경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던 래미안원베일리 역시 일정 변경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하지만 총회 일정을 확정한 일부 조합은 분양가상한제 유예 연장 발표에도 총회를 강행한다는 입장이어서 코로나19 감염 우려를 둘러싼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실제 총회 개최가 임박한 은평구 수색·증산뉴타운 재개발 조합들은 일정을 계획대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은평구청 관계자는 "조합 측이 장소를 예약하는 등 비용이 발생했기 때문에 무작정 총회를 열지 말라고 할 수도 없다"고 말했다. 30일 총회를 앞둔 강남구 개포주공1단지 역시 예정대로 개포중학교 운동장에서 야외 총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 단지의 조합원은 5133명으로 총회 성립을 위해선 1000명 이상이 모여야 한다. 백준 J&K도시정비 대표는 "한 달 전 코로나19 사태가 터질 때부터 정비 현장에서 분양가상한제 적용을 연기해 달라는 요구가 있었는데, 정부가 이제 발표하는 것은 너무 늦은 감이 있다"고 말했다.
[손동우 기자 / 정지성 기자 / 이축복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