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IOC 담당 기자 “일본 개최권 상실 가능” [도쿄 올림픽 취소]
입력 2020-03-17 00:17  | 수정 2020-03-17 09:47
코로나19 여파로 2020년 도쿄올림픽 취소 혹은 연기 주장이 잇달아 나온다. 연내 대회가 불가능하다면 일본 도쿄는 IOC 위원 2/3 이상 찬성을 얻어야만 개최권을 유지할 수 있다.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사진=AFPBBNews=News1
매경닷컴 MK스포츠 김성범 기자
오는 7월24일~8월9일 예정된 2020년 도쿄올림픽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라는 너무도 큰 돌발 변수에 잡아 먹힐 위기에 처했다. 해당 분야 전문기자는 일본이 개최권을 유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에리크 베르나노도는 16일(한국시간) 연기는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도쿄올림픽·패럴림픽 경기대회 조직위원회는 ‘2020년에 올림픽을 개최해야 하는 사명을 맡고 있다. 이 논리에 따르면 2021년 이후로 연기될 경우 도쿄는 개최권 자체를 잃는다”라고 설명했다.
베르나노도는 스위스 로잔에 있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본부를 전담 취재하며 세계 3대 뉴스통신사 중 하나인 프랑스 AFP 소속 저널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12일 코로나19를 '범세계적 전염병(팬데믹)'으로 규정했다. 도널드 트럼프(74) 미국 대통령은 13일 2020년 도쿄올림픽 1년 연기를 제의했다.
하시모토 세이코(56) 일본 올림픽·패럴림픽 경기대회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 주장에 앞서 도쿄도가 IOC와 맺은 계약에는 ‘2020년 안에 올림픽을 개최할 것이라고 기재됐다”라며 설명한 적이 있는데 베르나노도와 사실상 같은 얘기다.
세이코 장관은 (IOC와 계약 문구는) 해가 바뀌지 않는다면 (꼭 예정된 7~8월이 아니라도 2020년 내에서는 올림픽) 연기도 가능하다고 해석할 수 있는 문구”라고 주장한 바 있다.
베르나노도는 (올림픽을 2020년 열지 못한) 일본 정부와 도쿄도가 2021년 이후에도 개최권을 유지하려면 IOC 위원 전체 투표에서 2/3 이상 동의를 얻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집계에 따르면 17일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는 146국·17만4615명이며 6705명은 사망했다. 2020년 도쿄올림픽을 취소하자는 주장까지 나오는 이유다.
베르나노도는 일본 정부나 도쿄도 차원에서 결정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정식 권한은 IOC에 있다. ‘참가자 안전에 중대한 위기에 발생하면 2020년 도쿄올림픽 개최권을 IOC가 취소할 수 있다라는 조항이 조직위원회와 계약에 존재한다”라고 밝혔다. mungbean2@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