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입국제한 日정부에 韓 `격노` vs 中 `차분`…반응 엇갈린 이유
입력 2020-03-06 15:32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일본 총리, 리커창 중국 총리가 작년 12월24일(현지시간) 쓰촨성 청두 세기성 박람회장에서 한중일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과 중국이 일본 정부의 '한국인과 중국인 입국제한' 조치에 상반된 반응을 보여 눈길을 끌고 있다.
한국은 청와대까지 나서 '강한 유감'표시와 함께 상응 조치를 검토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한 반면, 중국은 일본 정부의 입장을 이해한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기 때문.
일본 정부는 지난 5일 우리나라에서 들어온 입국자에 대해 14일간 대기할 것과 무비자 입국금지, 입국금지 지역 확대 등 강화된 입국제한 조치를 발표했다.
이에 청와대는 6일 오전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회의를 열고 "일본 정부가 이런 부당한 조치를 우리 정부와 사전 협의 없이 취한 것은 납득하기 어려운 만큼 우리 정부는 상호주의에 입각한 조치를 포함해 필요한 대응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고 강한 유감을 표했다.

청와대는 "세계가 평가하는 과학적이고 투명한 방역체계를 통해 우리나라가 코로나19를 엄격하게 통제·관리하는데 비춰 일본은 불투명하고 소극적 방역조치로 국제사회로부터 불신을 받고 있다"고 꼬집기도 했다.
청와대가 "상호주의에 입각한 조치"를 언급하자 정계 일각에서는 "일본인 방한 제한 같은 맞불 대책이 나오는 것 아니냐"고 전망했다.
반면 중국은 신중한 자세를 취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5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일본의 입국제한 조치에 대해 "중국과 일본 상관없이 자국민에 대한 건강과 생명안전을 보호하고 지역과 세계 공공위생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일련의 적당한 조치라면 모두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관영매체인 환구시보는 일본의 입국제한 조치에 대해 5일 '가이이해(可以理解, 이해할 수 있다)'라는 제목의 짤막한 기사를 보도했다. 또 다른 관영매체들도 '일본의 입국제한 소식'에 대해 뉴스로 크게 부각시키지 않았다.
외교계에서는 한국과 중국이 일본의 조치에 대해 상이한 반응을 보이자 해석이 분분하다.
일단 일본과 중국은 이번 조치에 대해 사전 교감이 있었지 않겠느냐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중국의 조치가 생각보다 차분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달 28일부터 29일까지 일본을 방문한 양제츠 중국 정치국 위원은 오는 4월로 예정됐던 시진핑 주석 방일을 가을로 미루기로 합의했다. 이 자리에서 일본은 '중국인 입국제한 조치'에 대해 양해를 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지난달 미국 정부의 중국인 입국금지에 대해 중국 정부가 강하게 반발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또 다른 해석으로는 중국 입장에서 일본의 입국제한 조치가 특별하지 않다는 것이다. 중국은 일본의 이러한 조치 전부터 한국과 일본으로부터 오는 입국자에 대해 무조건 2주간 격리조치를 취하고 있다.
중국이 일본의 입국제한 조치에 너그러운 반응을 보이자 국내 네티즌들은 "중국의 어려움이 한국의 어려움과 같다고 '중국인 입국제한'을 등한시한 우리의 문제이지 누굴 탓하겠나", "전 세계가 한국인을 입국금지해도 우리는 입국금지가 없는 지상낙원"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디지털뉴스국 우승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