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약 1조원 '라임 사모펀드' 절반 은행에서 판매…평균치 8배 수준
입력 2020-02-19 08:19  | 수정 2020-02-26 09:05

대규모 환매 중단과 원금 손실이 발생한 라임자산운용 사모펀드 절반 정도가 은행에서 판매됐습니다. 일반 사모펀드에 비해 은행 판매 비중이 훨씬 큽니다.

손실을 본 투자자들은 은행이 손실위험을 제대로 알려주지 않았다고 주장합니다.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에 이어 은행의 불완전판매가 인정될지 주목됩니다.

오늘(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환매 중단 모펀드에 투자한 총 173개 자펀드 수탁고 1조6천679억 원 가운데 8천146억 원을 작년 말 기준 은행이 판매했습니다. 전체 49%입니다.

법인을 제외한 개인 투자자로 범위를 좁혀 보면 전체 수탁고 9천943억 원 중 은행에서 판매한 금액이 5천778억 원으로 58%에 달해 은행 판매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 큽니다.


판매사별로는 우리은행이 3천577억 원으로 가장 많은 금액을 판매했고, 신한금투가 3천248억 원, 신한은행이 2천769억 원을 판매했습니다. 세 곳의 판매액을 더하면 전체의 64%입니다. 전체 사모펀드의 은행 판매 비중에 약 8배입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전체 사모펀드의 판매 잔액 407조 원 중 은행의 판매 잔액은 25조 원으로 6.22%에 불과했습니다.

은행 가입 고객은 계좌당 가입 금액이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라임자산운용 펀드에 가입한 개인 투자자의 계좌 수는 총 4천35개인데, 이 가운데 은행 판매분은 2천663개로 66%에 해당합니다.

개인 투자자의 계좌 1개당 평균 투자금은 전체적으로는 2억5천만 원이었고, 은행을 통해 가입한 투자자는 평균 2억2천만 원, 증권사를 통해 가입한 투자자는 평균 3억 원이었습니다.

은행은 원금 손실 가능성이 없는 예금과 적금을 주로 취급합니다. 그래서 펀드를 판매할 때 투자자에게 위험성을 은행이 충분히 설명해야만 한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돼왔습니다.

대규모 투자 손실이 발생한 DLF 사태 때도 은행의 고위험 사모펀드 판매에 문제 제기가 있었습니다. 실제로 일부 사례는 금감원 분쟁조정위원회에서 불완전판매로 인정됐습니다.

은행에서 라임자산운용 펀드에 가입한 일부 투자자들은 손실 위험을 설명 못 받았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넷 카페 '라임자산운용 환매중단 피해자 모임'에서 한 은행을 통해 펀드에 가입했다고 밝힌 투자자는 "(은행) 부지점장이 펀드 얘기는 쏙 빼고 채권이라서 괜찮다는 말만 했다"며 "원금 손실 얘기는 없었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른 투자자도 "예금 만기일에 은행에 갔더니 은행원이 펀드 가입을 추천하면서 '원금 손실도 없고 손해 볼 일이 없다'고 안내했다"고 주장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