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남북관계 호재 끝나니 주저앉은 강원도 땅값
입력 2020-02-18 17:46  | 수정 2020-02-18 19:44
지난해 급등했던 강원도 땅값 상승률이 1년 새 반 토막이 났다. 남북 관계 개선에 따른 개발 기대가 약화된 데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이 끝나자 호재를 이어갈 요인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18일 강원도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1월 1일 기준 강원도 주요 지역 표준지 공시지가 상승률은 작년보다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작년 12.09%나 올랐던 고성군 표준지 공시지가 상승률은 4.31%로 3분의 1 토막 났다. 강원도 전체에서도 전년 대비 감소폭이 가장 컸다.
양양군도 지난해 상승률은 11.79%였지만 올 들어 6.99%로 상승폭이 절반가량 축소됐고, 철원도 같은 기간 6.07%에서 3.18%로 2.89%포인트 낮아졌다. 이 밖에 영월이 9.61%에서 6.19%로 줄어드는 등 강원도 대부분 지역에서 땅값 상승률이 감소했다.
실제 땅값도 2018년 8.06%나 상승하며 전국에서 땅값 상승률이 2위였던 고성군은 작년엔 2.92% 오르는 데 그쳤다. 지난해 1~2월만 해도 한 달 평균 0.3~0.4% 급등세를 이어갔지만 상승폭이 줄어들더니 연말엔 0.1% 오르는 수준까지 쪼그라들었다. 재작년에 6.65%나 뛰었던 철원군 땅값도 작년엔 2.57% 상승하는 데 그쳤다.

전문가들은 강원도 지역 땅값을 떠받치던 호재가 거의 사라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재작년 2월 치른 평창동계올림픽, KTX 개통, 남북 교류 기대감 등이 함께 얽혀 작년 초까지 급등세를 이어갔지만 '재료'가 이제 없어졌다.
강원도 부동산 시장은 토지뿐만 아니라 주택 분야에서도 좋지 않은 신호를 보이고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강원도 아파트 가격은 2018년 3월 셋째 주부터 올해 2월 첫째 주까지 약 1년11개월 동안 계속 가격이 하락했다. 전세시장도 작년 1월 이후부터 줄곧 하락세를 보이다 12월에 들어서면서 진정됐다. 아파트 매매 가격이 떨어지면서 '깡통 전세'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현재 강원도 내에서는 춘천시, 강릉시, 원주시, 동해시 등 4곳이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돼 있다. 주택 시장 침체가 지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어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미분양 물량을 축소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손동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