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한국, 중국 중간재 공급 차질시 2번째로 타격 크다"
입력 2020-02-18 14:05  | 수정 2020-02-25 15:05

코로나19 장기화로 중국산 중간재 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주요국 가운데 한국이 두 번째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오늘(18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의 '코로나19 사태의 주요국 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중간재 수출 가운데 한국으로 향하는 규모는 총 751억8천750만 달러(약 89조원·2017년 기준)로, 전체 중간재 수출의 6.5%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미국(10.7%)을 제외하고 주요국 가운데 가장 큰 비중입니다.

일본(5.5%), 독일(3.3%), 대만(2.7%), 베트남(2.6%), 인도(2.1%), 캐나다(2.1%), 멕시코(2.0%), 싱가포르(1.9%)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산업별로는 중국산 1차 금속 중간재 수입국 가운데 한국(10.9%)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중국의 전자 부품과 화학 중간재 수출에서 한국 비중은 각각 8.5%, 7.5%로,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컸고, 섬유·의복, 기계, 자동차·운송에서는 세 번째로 큰 중국산 중간재 수입국으로 꼽혔습니다.

이처럼 한국은 중국과 중간재 공급 사슬이 긴밀하게 엮여있어 코로나19 장기화로 중국의 중간재 공급과 수출량이 줄어들 경우 적잖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KIEP은 "중국산 중간재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면 중국 진출 기업과 수입기업이 일차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받게 된다"며 "한국 수출기업도 현지 경기 둔화 등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제3국을 통해서 한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특히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의 경우 중국 경제 의존도가 높아 코로나 19 장기화 시 타격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아세안 지역에 진출한 한국 현지 기업이 적지 않으며, 이들 기업의 중국 의존도가 높다는 점도 우려 됩니다.

KIEP에 따르면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전기전자기업은 전체 부품·원자재의 25.9%를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습니다. 자동차·기계 기업의 경우 중국 원자재의 비중이 20%, 섬유·의류 기업은 19.8%입니다.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섬유·의류 기업도 원자재의 25.4%를 중국에서 수입 중입니다.

또 아세안이 한국의 2대 수출대상지, 3대 투자지인 점을 고려할 때 아세안 경제의 위축은 한국과 아세안 간 경제협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KIEP은 설명했습니다.

한국의 대(對)중국 교역 창구인 홍콩의 경제위축이 한국과 중국 간 수출 지체 및 물류비용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북한의 경우에는 당장 한국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은 없지만, 추후 코로나19 공동 대응에 나서는 것이 남북관계 개선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보고서는 내다봤습니다.

KIEP은 "한국이 코로나19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됐을 때 진단 키트나 확진자 관리 매뉴얼을 북한에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