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돈도 있는데 납품할 기업이 없네"…경기도 취약계층 마스크 지원 실기(失期) 우려
입력 2020-02-14 15:56 
[사진 = 연합뉴스]

경기도가 취약계층 1명당 보건용 마스크 50매를 긴급지원하기로 했지만 마스크 제작 업체 섭외가 쉽지 않아 실기(失期) 우려가 나오고 있다.
경기도는 신종 코로나비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취약계층 마스크 조기 보급에 191억 원을 긴급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취약계층 마스크 보급 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경기도는 코로나19 사태로 마스크 수요가 늘자 올해 상·하반기 관련 예산을 앞당겨 한꺼번에 투입하기로 했다.
지원대상은 도내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노인·장애인시설 등 사회복지시설 거주자 44만3000명이다.

이들에게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증 보건용 마스크가 1인당 50매씩 지원된다.
경기도는 최근 31개 시·군에 이 같은 방침을 전달하고 최대한 빨리 마스크 지원이 가능하도록 독려하고 있지만 일부 기초단체의 경우 마스크 업체 선정에 난항을 겪고 있다.
특히 인구가 많은 수원시, 고양시, 성남시 등 대도시에서 이 같은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취약계층 3만1000명에게 160만장의 마스크를 지원할 예정인 수원시는 이달 초 통으로 입찰을 시도했으나 유찰됐다.
이후 수의계약 형식으로 마스크 납품 업체를 찾고 있지만 1곳을 찾는데 그치고 있다.
수원시 관계자는 "조달 가격이 저렴하고 30일내 160만 장의 마스크를 납품해야 하다 보니 부담을 느낀 업체들이 입찰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현재 여러 업체와 협의중인데 50만 장을 납품할 수 있는 한개업체와 수의계약을 한 상태"라고 밝혔다.
수원시는 "지금 마스크가 제일 필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3월까지 50만 장이 납품되면 적은 양이라도 취약계층 전원에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지자체 관계자는 "마스크 제작 업체를 못찾아 취약계층에 제때 마스크를 공급하지 못할까 걱정되는 것도 사실"이라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지홍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