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신종코로나 물가 영향은…"마스크 물가는 내년말에나 공표"
입력 2020-02-04 14:12  | 수정 2020-02-11 15:05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내달 발표될 2월 소비자물가 지표에서 드러날 전망입니다.

앞선 사례를 보면, 2003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때는 물가에 영향이 관측되지 않았고, 2015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때는 레포츠·오락 이용료가 하락했었다는 게 정부의 설명입니다.

정부는 마스크를 올해부터 소비자물가 예비조사 품목으로 선정하고, 지난달부터 조사를 진행 중입니다. 마스크 물가가 공식적으로 공표되는 시점은 내년 말부터가 될 전망입니다.

통계청은 오늘(4일) 소비자물가동향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영향은 다음달 3일 결과가 발표될 이번 달 조사부터 반영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물가조사는 한 달에 3차례 하는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은 지난달 20일 이후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1월 조사에 영향이 반영됐다고 보기 어렵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전개 양상이나 심각성에 대해 판단하기 어려워, 어떤 품목에 반영될지 당장 말하긴 어렵지만, 이번 달에는 영향이 반영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그러면서 2003년 사스 때는 물가에 두드러진 영향을 관측하지 못했고, 메르스 때는 전체 물가보다는 1년 전 대비 기준으로 놀이시설 이용료가 2015년 7월(-2.7%)과 8월(-2.0%), 레포츠 이용료는 2015년 5월(-4.5%)과 6월(-6.2%) 각각 하락한 바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후 레포츠 이용료는 2015년 7월 6.0% 급반등했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2015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7%에 그쳐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여파가 한창이었던 1999년(0.8%), 2019년(0.4%)과 함께 1965년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최저 수준이었습니다.

다만, 이는 메르스 영향이 아니라 국제유가가 전년 대비 급락한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습니다.

통계청은 올해부터 마스크를 예비조사 품목에 포함하고, 물가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소비자물가지수 개편에서 마스크가 조사대상 품목으로 확정되면 마스크 물가는 내년 말부터 공표됩니다.

안 심의관은 "가계동향조사 기준 전체 지출에서 1만분의 1 이상을 차지하면 조사품목에 포함한다"면서 "소비지출이 크지 않아 마스크는 대상이 아니지만, 미세먼지 때문에 올해부터 예비조사 품목으로 마스크를 포함하고 지난달부터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마스크 물가는 2020년 기준 소비자물가지수 개편이 마무리되는 내년 말부터 공표될 전망"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 이후 마스크를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일부 온라인 판매업자가 마스크 가격을 12배 이상 올려 판매하는 사례가 발각되는 등 마스크 가격이 급등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1일 800만개 생산으로 (마스크) 수급에는 문제가 없지만 향후 1일 1천만개까지 생산량을 확대하도록 하고 부직포 등 원자재 공급상황도 철저히 점검하겠다"며 "담합·매점매석 등에 대해선 엄정히 조치하고 시장 불안이 지속한다면 물가안정법에 따른 긴급 수급 조정 조치까지 강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